1. 중추신경계 Cerebral Nervous System, CNS
1) 뇌
(1) 대뇌의 기능
전두엽 |
- 인격, 고위인지기능 ex) 학습, 문제해결 능력, 판단 - 윤리적, 사회적, 도덕적 행위 - 1차 운동영역 : 무의식적 긴장 or 운동조절 , 통합 - 좌측 반구의 브로카 영역 : 손상되었을 경우 → 단어의 뜻을 아는데 말 못함 ※ 브로카영역 = 운동성 언어영역 Motor speech area |
|
두정엽 |
- 감각, 질감, 크기, 모양, 공간적 이해 |
|
측두엽 |
- 청각, 복합적 기억 패턴 - 베르니케 영역 : 손상되었을 경우 → 뜻을 이해할 수 없게됨 ※ 베르니케영역 = 언어 이해영역 Sensory speech area |
|
후두엽 |
- 일차적 시각중추 |
|
변연계 |
- 생존과 관련된 정서 = 본능적 충동 ex) 배고픔, 공격성, 성적흥분 - 감정적인 면을 유발함 - 학습, 기억 |
(2) 간뇌의 기능
시상 |
- 후각을 제외한 말초에서 오는 모든 감각 → 대뇌피질까지 전달함 - 원초적 정서 반응 ex) 통증, 분노, 공포 |
|
시상하부 |
- 자율신경 최고중추 ex) 수분대사, 식욕, 수면주기, 온도조절, 갈증조절 - 호르몬활동 |
(3) 뇌간의 기능
중뇌 |
- 몸의 평형 유지 ex) 직립반사, 자세반사 - 동안신경, 활차신경 - 신경핵 위치함 |
|
교 (뇌교) |
- ① 소뇌와 대뇌 연결 ② 중뇌를 연수까지 연결 - 흡식중추, 호흡조절중추 위치 : 심한 뇌부종으로 뇌교 하부까지 압박 시 무호흡 유발 |
|
연수 |
- 뇌와 척수 연결 - 생명유지에 중요한 중추 ex) 호흡중추, 심박동 조절중추, 연하중추, 구토중추, 딸꾹질중추, 반사중추 |
(4) 소뇌의 기능
ⓐ 골격근의 활동조절, 자세, 근육 평형과 긴장 유지
ⓑ 정교한 운동조절 - 무의식적 운동과 대뇌피질이 실행못하는 경우
ⓒ 신체 방향(평형)감각
(5) 기저핵
: 미상핵, 피각, 담창구, 편도체로 구성되어짐 → 근육활동을 조절하고 통합하는 기능
(6) 뇌의 혈액공급
ⓐ 이중구조의 혈액공급
: 내경동맥과 척추동맥 → 뇌기저부에서 문합 → 윌리스환 형성 → 뇌조직 괴사방지
뇌조직이 괴사되지 않는 이유? 어느 혈관이 차단되도 나머지 혈관으로부터 혈액공급 받음
ⓑ BBB ( Blood - Brain - Barrier )
: 뇌의 독특한 구조로 혈액 중 독성물질 유입방지
(7) 뇌척수액 Cerebral Fluid , CSF → 무색, 무미, 무취
ⓐ 정상압력 : 60 ~ 180mmH20 ( 5 ~ 13mmHg )
ⓑ 뇌와 척수 지지, 보호 in 두개골
외상 시 중추신경계로의 충격감소
신경세포에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2) 척수
전근 |
하행 |
운동정보전달 |
후근 |
상행 |
감각정보전달 |
2.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1) 뇌신경
뇌신경 |
이름 |
기능 |
1 |
후각신경 |
냄새 ( 지각 ) |
2 |
시신경 |
시각 ( 지각 ) |
3 |
동안신경 |
안구운동, 동공수축, 안검거상 ( 운동 ) |
4 |
활차신경 |
안구운동 ( 운동 ) |
6 |
외전신경 |
안구측면운동 ( 운동 ) |
5 |
삼차신경 |
저작 ( 운동 ) 안면감각, 각막반사 ( 감각 ) |
7 |
안면신경 |
안면근 ( 운동 ) 혀의 앞부분 2/3 미각 ( 지각 ) 타액분비 |
8 |
청신경 |
청각, 평형감각 ( 전정기관 ) |
9 |
설인신경 |
구개반사 조절, 혀 움직임 ( 운동 ) 인두 + 혀 후반부 1/3 미각 |
10 |
미주신경 |
자율신경계 기능조절( 부교감신경 ) ex) 구개, 인두, 후두 |
11 |
부신경 |
흉쇄유돌근, 승모근 운동조절 ( 운동 ) |
12 |
설하신경 |
혀 운동 ( 운동 ) |
2) 척수신경 Spinal nerve , 31쌍
8 경수 |
목과 상지의 횡격막, 늑간 |
|
12 흉수 |
흉강과 복부 |
|
5 요수 |
하지와 복부 |
|
5 천수 |
하지, 요로계, 장 |
|
1 미수 |
- |
※ 8 경수 + 12 흉수 + 5 요수 + 5 천수 + 1 미수 = 31쌍
3.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1) 기능
ⓐ 대뇌 의지와 상관없이 조절되는 신경
ⓑ 내장, 혈관, 샘에 분포
ⓒ 중추 : 간뇌(시상하부), 척수, 변연계
ⓓ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고 서로 길항작용을 함
ⓔ 생명유지의 향상성 유지
ex) 무의식적 작용, 호흡, 소화, 순환대사, 체온, 분비, 생식
2) 교감신경
ⓐ 흉수 - 요수분지, 항상성 유지, 스트레스원 대항가능
ⓑ 절전 섬유말단 ( 시냅스 ) : 아세틸콜린 분비
ⓒ 절후 섬유말단 ( 표적기관 )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3) 부교감신경
ⓐ 뇌간 - 천수분지, 에너지 절약하여 신체에 저장함
ⓑ 절전 절후 섬유말단 : 모두 아세틸콜린 분비
4) 자율신경계 영향
부위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
|
눈 |
동공 |
확대 |
수축 |
모양체근 |
이완 ( 먼 곳을 봄 ) |
수축 ( 가까운 곳을 봄 ) |
|
폐 |
기관지평활근 |
이완 |
수축 |
호흡 |
촉진 |
억제 |
|
심장 |
박동수 |
증가 |
저하 |
혈압 |
증가 |
저하 |
|
혈관 |
수축 |
팽창 |
|
간 |
당질분해와 지질분해 혈중 포도당상승 |
- |
|
위, 장 |
소화액분비 |
억제 |
촉진 |
소화관운동 |
감소 |
증가 |
|
비뇨기 |
방광 |
이완 |
수축 |
괄약근 |
수축 |
이완 |
|
부신수질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
영향 X |
|
샘 |
침샘 |
분비감소 |
분비증가 |
땀샘 |
분비증가 |
영향 X |
|
음경 |
사정 |
발기 ( 혈관이완 ) |
안녕하세요. 성인간호학 첫글을 올려봅니다.
신경계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말초신경계 Part 입니다.
이 중에서도 뇌신경 12쌍의 기능, 교감신경/부교감신경 시
어떠한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지 등은 꼭 암기하여야 할 것 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공부도 쉬면서 시간을 길게 두고 하시기를 권장할게요!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요실금 종류, 치료, 간호중재 (0) | 2021.02.14 |
---|---|
[성인간호학] 사구체질환 정의, 종류, 증상, 치료, 간호 (0) | 2021.02.12 |
[성인간호학] 화상 환자의 간호( 9의법칙, 응급기 ) (0) | 2021.02.07 |
[성인간호학] 상부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1.02.06 |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기능과 호르몬 분비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