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인간호학39

[성인간호학] 뇌졸중 원인, 증상, 치료, 간호중재 뇌졸중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중재 ※ 뇌졸중 Cerebrovascular Accident = CVA (1) 원인 : 색전, 뇌동맥성 파열/경련 : 허혈성 80%, 출혈성 20% ☆ 일과성 허혈발작 Transient Ischemic Attack = TIA ⓐ 정의 : 일시적 뇌혈류 부전현상으로 국소 신경학적 증상 발생 → 발병 24시간 내 후유증 없이 회복되는 경우 ⓑ 흔한 증상 : 팔, 다리, 입 갑작스런 허약감, 마비, 언어양상 변화, 한쪽 눈 시야장애 ⓒ 예후 : TIA를 앓았던 사람의 경우 →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9배 높다 → 3 ~ 6개월 사이 재발 가능성이 높다 → 뇌졸중이 발병하기 전에 철저한 평가와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 치료/간호 - 혈관이완제 투여 : 혈.. 2022. 6. 7.
[성인간호학] 담낭계(담낭염, 담석증, 담낭암, 담관폐색), 췌장계(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췌장암) 담낭, 췌장과 관련된 질환 담낭계 Biliary System ① 담낭염 Cholecystitis / 담석증 Cholelithoasis 1) 증상 - 통증 • 담관 폐쇄일 경우 : 산통이 우상복부와 심와부에서 갑자기 강하게 발생함 → 방사 : 오른쪽 어깨, 견갑골 • 황달 : 총담관 폐쇄일 경우) 담즙이 혈액으로 다시 흡수되어 빌리루빈 수준 상승함 • 머피 증후군 양성 Murphy : 담낭 촉진하는 경우) 통증이 심해져서 일시적으로 숨을 멈춤 • 소화불량, 소양감, 가벼운 발열, 약간의 백혈구 증가 • 출혈 경향 - 혈액응고인자 Ⅱ, Ⅶ, Ⅸ 등의 인자는 비타민K 도움으로 생성됨 → 담즙이 소장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지용성 비타민 흡수가 저하됨 2) 치료 • 체외충격파쇄석술 : 합병증 → 혈뇨, 산통 ▶ 수.. 2022. 6. 5.
[성인간호학] 혈액계질환 - 백혈구장애 (백혈병, 호중구감소증, 다발성골수증, 림프종,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계와 관련된 질환 백혈구 장애 ① 백혈병 Leukemia 1)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genous Leukemia = AML - 호발연령 : 성인에게 흔함 - 특징 : 모든 골수 세포의 장애가 발생 - 증상 • 부적절한 혈구 생성에 의한 증상 : 감염, 출혈경향, 허약, 피로, 뼈 통증 • 적혈구, 혈소판 감소 • 골수검사 : 골수아구의 현저한 증가 - 치료 : 항암화학요법, 수혈, 골수이식 - 간호 • 감염예방 : 절대호중구 ANC 관찰, 격리 + 방문객 제한 • 출혈예방 : 혈소판 PLT 관찰 - 예후 • 치료 안하면 2달 이내 사망함 • 평균 생존기간 : 13개월 2) 만성 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 CML - 호발연령 : 25 ~ 60.. 2022. 6. 4.
[성인간호학] 혈액계질환 - 적혈구장애 (재생불량성빈혈 , 철결핍성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염산결핍성빈혈, 용혈성빈혈, 지중해성 빈혈, 겸상적혈구성빈혈, 적혈구증가증) 혈액계와 관련된 질환 적혈구 장애 ① 빈혈 1) 재생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 = AA - 원인 • 골수의 적혈구 조혈 중단 • 약품 Ex) 항암제 화학물질 Ex) 벤젠, 벤젠 유도체, DDT - 증상 • 범혈구 감소증 : 모든 혈구의 전구체 생산에 문제가 생김 • 혈소판 감소증 : 출혈경향 • 호중구 감소증 : 감염위험 • 허약, 창백, 숨참 → 천천히 진행됨 • 예후가 매우 나쁨 - 치료 • 조혈모세포이식 • 골수기능 위축시키는 약물 + 물질 사용 중단 • 지지적치료 : 수혈, 감염예방, 범혈구감소증 증상 감소 위한 중재 실시 • 면역억제법 : 면역억제제를 투여 → 골수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함 • 식이 : 고비타민, 고단백질 섭취 격려 2) 철결핍성 빈혈 - 원인 •​ 철분요구량 증가 .. 2022. 6.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