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 코의 구조 : 코의 구조는 크게 구분하면 외비, 비강, 부비동으로 나눌 수 있다
※외비 : External nose
비강 : Nasal cavity
부비동 : Paranasal sinuses
- 외비
외비는 삼각추 모양의 안면에 돌출된 부분으로 전두골 비부, 상악골 전두돌기, 비골, 비중격 연골, 비연골 등이 조합되어 형태의 기초를 만든다. 인종, 가족적, 개인적인 특성이 있다. 좌우의 외비공이 공기의 출입구가 되고, 점막에 이를 때까지는 피부로 덮여 있으며 코털이 나있는 부분을 비전정이라고 한다.
- 비강
비강은 뼈 및 연골벽에 의해 형성된 공동으로, 비중격에 의해 좌우 2개의 강으로 나뉜다. 점막(주로 섬모상피세포)으로 덮여있고, 비강 측벽에는 비갑개라고 하는 3개의 융기가 있어 위로부터 상,중,하비갑개라고 한다. 각 비갑개의 하측에
해당하는 함요부가 각각 상,중,하비도이고, 비중격과의 사이의 공간을 총비도라고 한다. 좌우비강은 외비공에 의해 외계로 열려있고, 후비공에 의해 상인두로 연결된다.
※ 상, 중, 하비갑개 : Superior, Middle, Inferior Turbinate
상, 중, 하비도 : Superior, Middle, Inferior Meatus
• 후각
비강의 최상단을 비강천개라고 하는데, 이 부근의 비중격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중비갑개 부분에는 후세포가 분포하고,
여기서 뻗어 나온 후사가 사판을 통과하여 후구에 연결되어 후각을 주관하고 있으므로, 이 부위는 후부라고 한다.
그 밖의 부분은 후각과 관계가 없으므로 호흡부라고 한다. 냄새는 공기 중의 냄새 물질이 감각상피인 후세포를 흥분시켜
후사, 후구를 거쳐 후각중추에 전달됨으로써 느낄 수 있다.
비강은 호흡기의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비강의 복잡한 표면과 점막하의 풍부한 혈관에 의해,
흡기를 가습, 가온, 먼지제거 등의 공조작용을 발휘한다. 이로써 하기도의 보호와 폐에서의 원활한 가스교환이 가능해진다.
- 부비동
부비동은 비강과 서로 통하고 있는 공동으로, 상악동, 사골동, 전두동, 접형골동이 있다. 상악동, 전두동, 접형골동은
좌우 한쌍이지만, 사골동은 몇 개부터 십몇 개의 공동으로 개인차가 크다. 전부 사골동군과 후부 사골동군으로 나뉜다.
부비동과 비강 사이의 연결통로는 상악동, 전두동, 전부 사골동은 중비도에 있고 후부 사골동과 접형골동은 상비도에
있다. 공동 내부는 얇은 점막으로 덮여 있고 점액분비나 섬모운동이 있지만, 기능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음.
※ 상악동 : Maxillary sinus
사골동 : Ethmoid sinus
전두동 : Frontal sinus
전형골동 : Sphenoid sinus
[인두]
- 인두의 구조 : 인두의 전방은 비강, 구강에 위치하고, 하방은 후두, 식도에 이르는 관으로 된 공간으로, 기도 및 소화관
일부를 구성한다. 성인의 경우 전체 길이는 약 12cm이고, 상,중,하인두의 3영역으로 나뉜다.
- 상인두 or 비인두
상인두는 두개저부터 경구개 높이까지 인두의 최상부에 해당하고, 전방은 후비공에 의해 비강과 연결되어 비강에
이어지는 두 번째 호흡도가 되고 있다. 외측벽에는 이관 인두구가 있어 중이와 통하고 있다. 상후벽에는 림프조직의
집단이 있고 이것을 인두편도(아데노이드)라 하며, 이관 인두구 주위의 것을 이관편도라고 한다. 연하나 발성 시에는
필요에 따라 연구개의 움직임에 의한 상인두의 차단기능이 작용하고 있다. 상인두 하부로 연구개 높이의 부위에는
연하 시에 융기가 나타나는데 음식물이 상인두, 비강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 상인두 : Epipharynx
융기 : Passavant
- 중인두
중인두는 연구개부터 후두개 상연 높이까지의 부분으로, 전면은 구협을 경계로 하여 구강과 연결되어 있다.
구협은 중앙에 구개수라고 하는 돌출부가 있고, 양측에는 구개궁이라고 하는 2중의 완만한 벽이 혀에 다다르고 있다.
전후 구개궁 사이에는 구개편도가 있고, 설근부에는 설편도가 있다.
※ 중인두 : Mesopharynx
ⓐ 왈데이어의 인두륜
상인두와 중인두의 림프조직을 연결하는 하나의 고리가 되므로, 이것을 왈데이어 인두륜이라고 한다. 편도는 연령에
따라 그 발육 정도가 다른데 대채로 인두편도는 5~6세, 구개편도는 7~8세경 최고가 된다.
중인두는 상인두로부터 이어지는 호흡로인 동시에 구강에서 연결되는 음식물의 통로이다. 두 가지 기능을 겸하고
있으므로 음식은 후방, 공기는 전방의 경로를 지나게 된다. 음식물을 연하할 때에 기도로 들어가서는 곤란하므로,
복잡한 상호반사운동으로 오연을 방지하고 있다.
※ 왈데이어 : Waldeyer
- 하인두
후두개 상연 이하의 부분으로, 윤상연골의 높이에서 식도로 이행한다. 전방에 있는 피열 후두개 주름이 후두와 하인두의
경계가 된다. 이 주름으로부터 하인두 측에는 배 모양의 오목한 곳이 있는데 이곳을 이상함요라고 한다.
식도는 음식이 통과할 때 외에는 점막이 서로 닿아 닫혀 있다. 입구부를 닫고 있는 것은 윤상인두근으로 연하 시에
이완하여 열린다.
※ 하인두 : Hypopharynx
[후두]
- 후두의 구조 : 후두는 후두개연골, 갑상연골, 피열연골, 윤상연골 등을 기반으로 여기에 인대나 근육이 조합되어 생긴
관상물로, 중인두에서 함께 했던 음식물 통로와 호흡 통로를 다시 분리 독립시키고 있다. 후두개는
전방에서 후상방으로 뻗은 덮개와 같은 것으로, 내부를 방어하는 형태이다.
후두내부에는 옆으로부터 2단의 융기가 있고, 위를 가성대(전정)주름, 아래를 성대라고 하며, 양측 성대
사이의 공간을 성문이라고 한다. 성대는 내층에 성대근과 성대인대가 있고 자유로이 개폐운동을 한다.
발성이란 성문이 적당히 닫힌 상태에서 호기가 통과할 때에 생기는 진동음이다.
- 후두의 신경
후두는 미주신경에 의해 지배된다. 미주신경은 상후두신경과 하후두신경(반회신경)이라는 분지를 내고 후두의 운동을
주관한다. 반회신경은 그 이름처럼 왼쪽은 대동맥궁을, 오른쪽은 쇄골하정맥을 우회(반회)하여 기관과 식도 사이의 틈을
상행하고 윤상갑상근(전근) 이외의 후두근에 분포한다. 후두의 기능으로는 호흡, 하기도의 보호, 발성이 있다.
- 연하운동
연하운동에 대해서는 음식물이 구강부터 식도를 통할 때까지 3가지로 나누어진다. 구강 영역(제 1기)이란 구강 내 있는
음식물이 수의적인 운동에 의해 구협을 통과하여 인두로 이동하 때까지를 말한다. 인두 영역(제 2기)에서는 설근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협을 폐쇄하고 연구개도 거상하여 상인두를 폐쇄한다. 게다가 후두는 거상하고 후두개는 후굴하여
성문이 닫힘으로써 음식물의 기도내 침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식도 영역(제 3기)에서는 식도 입구부가 열려
음식물이 식도 내로 옮겨져 식도의 연동운동에 의해 아래로 보내진다.
인두영역과 식도영역의 운동은 모두 반사운동으로 관련된 근육이 차례로 수축, 이완함으로써 일련의 공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신경마비 등에 의해 이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연하장애를 일으킨다.
[기관]
기관의 구조 : 기관은 윤상연골의 직하부터 기관 분기부까지의 관강장기로, 직경이 약 2cm, 전체 길이는 성인이 약 12cm
이다. 기관은 호흡을 하는 통로로 6~10개의 C자의 모양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흉골각에서 좌우
기관지로 갈라진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0) | 2021.02.09 |
---|---|
[성인간호학] 화상 환자의 간호( 9의법칙, 응급기 ) (0) | 2021.02.07 |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기능과 호르몬 분비 (0) | 2021.02.04 |
[성인간호학] 세포내액 결핍 (0) | 2021.02.04 |
[성인간호학] 인간의 시기별 특징 및 발달과업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