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 열, 화학물질, 전기, 방사선에 의한 조직손상
2. 분류
⑴ 9의 법칙 ( 12세 이상 )
- 체표면의 비율
• 머리와 목 : 9%
• 한쪽 팔 : 9%
• 몸체 : 36% ( 앞면 18% + 뒷면 18% )
• 한쪽 다리 : 18%
• 생식기 : 1%
- 중증화상의 정의
• 2도 이상이면서 체표면적 20% 이상인 경우
• 3도 이상이면서 체표면적 10% 이상인 경우
• 2도 이상 얼굴, 귀, 눈, 손, 발과 회음부위를 포함하는 화상
• 고압전류화상, 중증의 손상이나 호흡기 손상을 동반한 모든 화상
- 손상의 정도
• 표재성화상(1도) : 표면의 부분적 화상, 표피손상, 발적 O, 수포 X
• 부분층화상(2도) : 표피 + 다양한 범위의 진피손상, 발적 O, 수포 O, 부종 O, 치유가능
• 전층화상(3도) : 표피 + 진피 + 피하조직까지 손상, 신경말단 손상으로 통증 X, 체온조절불가 피부이식 요구됨
• 전층화상(4도) : 피부전층 + 근육 + 뼈조직 손상, 통증 X, 피부이식 요구됨
3. 화상의 생리적 변화
ⓐ 응급기 ( 48 ~ 72시간 이내 )
[체액상실단계 - 보통 초기 12시간, 24~36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음] → 위험도 높다 !
항목 | 기전 | 결과 |
세포외액의 이동 | • 혈관 → 간질강 | 화상부위 통증 |
신장 기능 | • 혈압감소, 심박출량의 감소 → 신혈류량 감소 | 핍뇨 |
Na + | • 신장에서 재흡수 But, 삼출액으로 소실 |
저나트륨혈증 |
K + | • 조직, 적혈구 세포손상으로 인해 K+ 유리 • 신장기능 감소로 인해 K+ 배출 감소 |
고칼륨혈증 |
단백질 | •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 조직으로 이동, 교질삼투압 감소 | 저단백혈증 |
질소 | • 조직이화작용, 환부 통한 단백질 소실 • 받은 것보다 더 많은 질소의 소실 |
음성질소균형 |
산 - 염기 | • 조직관류 저하 → 무산소성 대사증진 • 최종 분해산물의 증가 • 신기능 감소 → 산의 정체, 혈중 중탄산염 소실 |
대사성산독증 |
※ 넓은 범위의 피부가 손상될수록 체액부족으로 인한 위험도가 높음
[ 이뇨단계 - 체액상실단계에서 안정화 → 체액보상으로 단계 ]
항목 | 기전 | 결과 |
세포외액의 이동 | 간질강 → 혈관 | 혈액 희석 |
신장기능 | 신혈류량 증가 | 이뇨현상 |
Na + | 이뇨작용 → 나트륨 손실 | 저나트륨혈증 |
K + | K+ 이 세포로 이동(이뇨작용으로 손실) | 저칼륨혈증 |
단백질 | 지속적인 이화작용 → 단백질 소실 | 저단백혈증 |
질소 | 조직이화작용, 단백질 손실, 부동 | 음성질소균형 |
산 - 염기 | 이뇨작용 → 중탄산염 소실 대사산물의 증가 → 산의 축적 |
대사성 산독증 |
ⓑ 간호중재
1) 병원 이송전 응급처치
ⓐ 환자를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옮김
ⓑ Airway → Breathing → Circulation ( 기도유지 → 호흡유지 → 순환 )
ⓒ 화상 부위 및 옷을 찬물에 재빨리 적시어 식힘
ⓓ 서 있다면 화상과 연기가 얼굴부위 덮치기 때문에 흡입손상의 원인이 됨
ⓔ 상처는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덮고, 연손실 막기 위해 건조한 담요로 덮어줌
→ 얼음 사용할 경우? 갑작스런 혈관수축, 심한 체액이동의 원인이 되므로 절대사용금지 !!!
ⓕ Chemical burns : 즉시 Irrigation-shower로 계속 세척 ( 20~30분간 실시 )
2) 통증경감
: 화상 표면에 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드레싱 한다!
3) 응급실 간호중재
ⓐ 기도확보 후에는 순환유지가 우선순위 ( Why? 화상으로 인해 많은 체액손실이 있으므로 )
ⓑ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배설량을 정확하게 확인한다
ⓒ 기관내삽관이 기관절개술보다 선호된다 ( Why? 기도의 부종은 화상 입은 후 며칠 경과되면 완화되기 때문에 )
4) 수액공급
ⓐ 심한 화상 입은 후에는 저혈량 쇼크 예방 위해 상해 입은 한 시간 이내에 체액보충 시작
ⓑ 전해질 → 등장액(Lactate Ringer, 생리식염수) or 고장액(염분있는 용액)
ⓒ 혈액량의 급격한 감소와 부종은 첫 8시간 이내에 빠르게 진행
ⓓ 수분손실 - 화상을 입은 후 1시간 이내에 시작 → 4~6시간에 절정에 달하며 48시간에 이르기까지 지속됨
ⓔ 대상자 상태를 사정하여 첫 24시간 안에 요구되는 체액의 양을 계산하여 체액보충
ⓕ 사용되는 수액 : 교질액(Colloids)으로 전혈, 혈장, 혈장보충제가 있음
ⓖ 전해질 : 등장액 or 고장액 사용
ⓗ 화상 후 12시간 지나고부터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감소되므로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알부민, 덱스트란 같은 교질액 공급
ⓘ 소변배설량이 시간당 30mL/hr 이하이면 수액공급이 불충분함을 의미
5) 체온유지
: 주위환경은 평상시보다 더 따뜻하게 유지, 열램프, 보온등 사용해준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사구체질환 정의, 종류, 증상, 치료, 간호 (0) | 2021.02.12 |
---|---|
[성인간호학]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0) | 2021.02.09 |
[성인간호학] 상부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1.02.06 |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기능과 호르몬 분비 (0) | 2021.02.04 |
[성인간호학] 세포내액 결핍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