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산소요법
|
저유량(저농도) |
고유량(고농도) |
|||
비강캐뉼라 Nasal Prong |
단순안면마스크 O2 Mask |
부분재흡입마스크 Partial Rebreathing mask |
비재흡입마스크 Nonbreathing mask |
벤츄리마스크 Venturi mask |
|
방법 |
• 2개의 돌기가 있는 관으로 산소공급 In 비강 • 1 ~ 6L/min 24 ~ 44% |
• 입과 코를 덮는 마스크 • 흡기 시 실내 공기혼합 In 마스크구멍 • 5 ~ 8L/min 40 ~ 60% |
• 내쉰 공기가 저장백에 다시 들어가게 되어있음 • 6 ~ 11L/min 60 ~ 75 % |
• 저장백으로 산소공급 후 밸브를 통해 환자에 공급 • 내쉰 공기는 마스크 구멍 으로 배출 • 7 ~ 10 L/min 60 ~ 100 % |
• 일정량의 실내공기와 산소 섞여 공급 • 4 ~ 12L/min 24 ~ 50 % |
장점 |
• 경제적 가벼움 • 활동시 제거할 필요없음 • 기침용이 폐쇄공포감 X |
• 경제적 간편 • 비강캐뉼라 보다 높은 농도 |
• 높은 산소공급 저장백 산소보존 |
• 거의 100% 산소공급가능 |
• 비침습적방법중 산소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절 (가장) |
단점 |
• 오래 사용하면 비강점막건조 And 자극, 귀의 피부손상 • 불량하게 꽂혀있을경우 FiO2 ↓ |
• 폐쇄공포감 구토시흡인위험 O • 먹기 or 기침할 경우 마스크벗어야함 |
• 착용불편 • 산소투여량 낮으면 저장백 달라붙음 |
• 부분재흡입 마스크동일 |
• 마스크 밀착되지 않아 환자의 눈으로 산소가 들어갈 수 있음 • 불편감 |
② 밀봉흉곽배액
1) 목적
• 흉막강 내로 공기 or 액체 제거하는 것
• 흉막강 내로 정상음압을 유지하는 것
• 폐 재팽창을 증진
2) 간호중재
• 배액관 개방성 유지
① 파동정상 : 흡기시 물이 상승
호기시 물이 하강
② 파동소실 : 체위변경하여 개선되는지 관찰
관이 막힘
다른 문제가 있는지 사정
③ 기포 : 증가할 경우 - 밀봉체계 or 환자에게서 공기가 새고 있음을 의미
호기할 경우 - 소량발생은 정상
• 배액병의 양, 색, 특징 관찰 : 배액량이 100mL/hr 이상일 경우 - 즉시 보고 ( 과다출혈 )
• 관 훑기
① 혈액응고물 or 죽은조직을 기계적으로 제거
② 배액용이, 개방성유지
• 체위변경할 경우 배액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배액병 - 환자보다 낮은 곳에 위치
3) 배액관제거
• 흉부 X-Ray 촬영으로 폐 재팽창 And
배액물이 완전히 배출된 것 확인되면 제거
• 흉관제거 30분 전에 진통제 투여
• 흉부 방사선 촬영 : 폐확장 유지확인
• 제거할 경우 발살바수기법으로 숨을 내쉰 후 참고 공기유입방지
• 상처 : 바셀린거즈로 덮고 멸균거즈 대어 단단히 고정
안녕하세요!
국가고시에 자주 출제되는 산소요법과 흉관배액관 관련 내용입니다.
특정 상황에 어떠한 산소요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숙지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염증성장질환(크론씨병, 궤양성대장염) 분류, 치료, 간호중재 (0) | 2021.02.22 |
---|---|
[성인간호학] 알레르기(과민)반응 종류, 검사, 치료, 간호중재 + 아나필락틱쇼크 (0) | 2021.02.21 |
[성인간호학] 응급간호 ( 심폐소생술, 현장응급처치 ) (0) | 2021.02.19 |
[성인간호학] 쇼크 Shock 유형, 증상, 간호중재 (0) | 2021.02.17 |
[성인간호학] 의식수준사정 ( GCS, LOC 5단계 ) (0) | 2021.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