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응급환자의 분류
ⓐ 긴급환자 - Red
• 위기 or 생명의 위협
•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만 생존 가능한 상태
ex) 심장마비, 심한 쇼크, 기도폐쇄, 의식불명, 연가양흉곽, 긴장성기흉, 경추손상 위험
ⓑ 응급환자 - Yellow
• 중함
• 초기 응급치료를 받은 후 후송을 기다릴 수 있는 상태
ex) 중증화상, 중증출혈, 경추/척추 골절, 다발성 골절, 안구돌출성 외상
ⓒ 비응급환자 - Green
• 경함
• 구급처치 수준의 치료가 요구되는 경환 질환 or 손상
ex) 소량의 출혈, 탈골, 동상, 단순골절, 경증화상, 경증열상, 타박상
2. 응급간호 순위
① 적절한 환기 / 기도유지
② 산소공급 : 분당 6 ~ 9L
( COPD 병력없는 환자 - Why? COPD환자는 저량의 산소를 공급받아야 함 )
③ IV line 유지
④ 심장모니터 작동 : 12유도 ECG
⑤ Shock 예방체위
⑥ 활력징후 지속적 모니터링
⑦ 심리적지지
3. 현장 응급처치
1) 안전한 장소로 이동
• 이동 > 손상 ( 이동하는 것이 손상보다 더 중요할 경우 이동시킨다 )
• 척추부위 손상여부 고려 ( 척추부위가 손상되었을 경우 함부로 이동시키면 악화되기 때문 )
• 이동 시 심한 손상이 예상될 경우
ex) 경추마비 -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2) 의식확인 / 기도유지
• 턱 들어올림
• 이물질제거
3) 인공호흡 시작
4) 외부 심장압박
5) 출혈통제 - 출혈부위 : 심장보다 높게 유지
• 상처 바로 위 동맥압박
• 지혈대 적용
• 출혈부위 직접압박
6) 척추, 사지손상 부위에 부목
7) 개방상처
• 멸균된 천, 깨끗한 천으로 상처 덮음
• 공기가 들어가는 흉부상처 : 폐쇄붕대
8) 가능한 빨리 이송
Why? 저체온 예방
4. 심폐소생술 - CPR ( Cardio Pulmonary Resucitation )
1) 사정 : 의식확인
• 반응확인
ex) 괜찮으세요? - 어깨를 두드리거나 흔들어줌
• 성인의 심정지 양상
ex) 갑작스런 쓰러짐, 축 늘어짐, 무호흡, 청색증, 경련, 심정지호흡(Gasping)
2) 도움요청 / 119 신고요청
• 대상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 큰소리로 주변사람에게 도움요청 or 119 신고 부탁하기
ex) 검은색 후드티 입으신 여성분 119에 신고해주세요.
흰색 바지 입으신 남성분 자동제세동기 가져와주세요.
3) 맥박확인
• 일반인 : 맥박확인 절차생략 - 의식이 없거나 호흡 비정상 시에 심정지상황으로 판단
• 의료인 : 경동맥 or 대퇴동맥 10초간 확인 - 만약 맥박이 없다면 즉시 CPR 실시
4) 심폐소생술
• 순서 : C - A - B
C - 가슴압박
ⓐ 대상자의 체위 변경 ( 통나무굴리기 )
ⓑ 딱딱하고 편평한 바닥에 앙와위로 눕힘
ⓒ 압박부위 : 가슴의 중앙부위
ⓓ 압박속도 : 100 ~ 120회/분
ⓔ 압박깊이 : 5 ~ 6cm
ⓕ 압박위치 : 흉부중앙의 양쪽 유두사이, 흉골 아래쪽 1/2 지점
ⓖ 팔꿈치를 펴고 팔을 바닥과 수직으로 체중을 실어 압박 - 압박 후 충분한 이완
A - 기도유지
B - 인공호흡
ⓐ 기도유지 : 두부후굴, 하악거상법, 하악견인법
ⓑ 인공호흡 : 구조자의 입이 대상자의 입을 완전히 덮도록 함
호흡시 가슴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
인공호흡 사이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도록 함
If ) 효과적 인공호흡이 안될 경우 : 기도재고정, 이물질확인
ⓒ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반복
- 흉부압박 : 인공호흡 = 30 : 2 →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때까지
대상자가 움직임을 보일때까지
- 심폐소생술 5주기 후 다른 사람과 역할교대
Why? 구조자의 피로예방
- 일반인의 경우 : 인공호흡이 어려운 경우 가슴압박만 시행 - 중단하지 않고 계속!
5)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 하임리히법 실시
안녕하세요!
간호사라면 가장 먼저 배울 수 있는 CPR, 응급처치 내용입니다.
대학교 재학당시 CPR 교육을 자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여유가 되시면 BLS, KALS 같은 심폐소생술 자격증을 따놓으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자격증을 따놓음으로써 마음가짐도 달라지고
취업할 때 자격증란의 공백을 채워줄 수 있습니다!ㅎㅎ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알레르기(과민)반응 종류, 검사, 치료, 간호중재 + 아나필락틱쇼크 (0) | 2021.02.21 |
---|---|
[성인간호학] 산소요법 종류, 밀봉흉곽배액 (0) | 2021.02.20 |
[성인간호학] 쇼크 Shock 유형, 증상, 간호중재 (0) | 2021.02.17 |
[성인간호학] 의식수준사정 ( GCS, LOC 5단계 ) (0) | 2021.02.16 |
[성인간호학] 두개내압상승 원인,증상,치료,간호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