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험 신생아 ★
1) 생리적황달
• 정의
- 생후 2~4일 즈음 발생하는 황달이다
- 일주일 지나면 자연 소실된다
- 혈중 빌리루빈 수치 : 5mg/dL↑ 경우 ▷ 황달
• 증상
- 신체 일부가 오렌지색으로 변함 Ex) 피부, 공막, 손톱
• 원인
ⓐ 높은 적혈구 수치(성인 2배) and 짧은 적혈구 수명(70~90일)로 비결합 빌리루빈↑
ⓑ 간접 빌리루빈(지용성) → 직접 빌리루빈(수용성) 변화가 일어나지 못함
Why? 간의 미성숙으로 인한 효소의 활성부족
ⓒ 정상적인 직접 빌리루빈 배출 : 소변, 대변 → 담도, 장관을 통해
But, 생리적황달의 경우 배설되지 못한 빌리루빈이 재흡수되어 순환 → 피부, 공막에 침착
ⓓ 모유 속 성분 : 빌리루빈 포합을 방해한다!
2) 병리적황달
• 정의 ( 조건 )
- 혈청 빌리루빈 수치 : 12mg/dL↑
- 출생 후 24시간 이내 황달이 발생하는 것
• 증상
-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된다
- 간접 빌리루빈 : 신경조직에 독성이 강하여 뇌저 신경절에 빌리루빈이 축적
→ 이러한 간접 빌리루빈 축적이 핵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 핵황달 : 중추신경계 억압증상
이후 뇌성마비, 정신지체, 난청 유발 가능
• 치료
- 광선치료 : 빌리루빈 14mg/mL 이상일 경우 실시함
① 신생아로부터 45 ~ 60cm 떨어진 거리에서 광선 적용
Why? 빛이 피부에 흡수되며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바꿔 빌리루빈 배설 유도함
② 체위 자주 변경 : 광선에 신체 노출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③ 안대착용 : 안구손상 예방 위하여
※ 수유하는 동안에는 안대를 벗겨 시각적 / 감각적 자극을 제공함
④ 고환 가리기 : 생식기보호
⑤ 회음부간호 : 빌리루빈이 체외로 배출되며 묽은 변이 있을 수 있음
- 교환수혈 : 용혈성질환 → 고빌리루빈혈증의 경우
▷ 교환수혈을 실시하여 위험한 수준의 빌리루빈을 감소함
- 알부민 투여 : 알부민 → 혈청에서 빌리루빈과의 결합성을 높여줌
- 주의깊게 관찰 : 광선으로 인한 체온상승 and 탈수 있는지?
탈수증 and 건조증상 ▷ 수분보충 실시
※ 윤활용기름 or 로션 → 피부자극할 수 있으므로 금지
- 매일 빌리루빈 수치 측정 Why? 시각적 황달사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위험신생아에서 국가고시 출제율이 높은 황달 파트입니다.
생리적 황달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자연소실 되므로 증상을 관찰하며
지켜보면 되지만 병리적황달의 경우에는 신생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오늘도 수고하셨고 내일도 수고합시다!! ㅎㅎ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비뇨생식기장애(잠복고환, 음낭수종) (0) | 2022.07.11 |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호흡기장애(무호흡, 특발성호흡장애증후군, 호흡기합병증 - 태변흡인증후군, 미숙아망막병) (0) | 2022.07.09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기관식도루/식도폐색증, 밀폐항문) (0) | 2022.07.06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선천적 안면장애(구순열/구개열) (0) | 2022.07.05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미숙아, 과숙아)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