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미숙아, 과숙아)

by 널스용 2022. 7. 4.
728x90
반응형

★ 고위험 신생아 ★

1) 신체 크기에 따른 분류​

저체중 출생아

: 재태기간에 관계없이 출생체중 2,500kg↓ 신생아

• 극소 저체중 출생아

: 재태기간에 관계없이 출생체중 1,500kg↓ 신생아

•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체중아

ⓐ 자궁 내 성장률이 낮다

ⓑ 만삭 or 만삭 이후 출생하여 출생체중이 자궁내 성장곡선 상 10백분위수 이하인 신생아

• 재태기간에 비해 적절한 체중아

: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10백분위수와 90백분위수 사이에 있는 신생아

• 재태기간에 비해 큰 체중아

: 출생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90백분위수 이상인 신생아

• 자궁 내 성장지연

: 자궁 내 성장이 지연된 신생아

2) 재태기간에 따른 분류

• 미숙아 :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

Premature infant

• 만삭아 :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8주 ~ 42주 출생한 신생아

Term infant

• 과숙아 :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42주 이후에 출생한 신생아

Postterm infant

3) 미숙아 and 과숙아 특징

미숙아

ⓐ 정의 : 출생체중과 관계없이 37주 이전 출생한 영아

ⓑ 특징

- 면역물질 : 임신말기에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감염 감수성이 높다!

- 감염 : 미숙아에게 감염이 온다고 해도 반드시 고열, 백혈구 수 증가한다든가 하지는 않음!

- 머리카락 : 가늘다 and 솜털같다

- 머리 : 몸통 비율 → 정상보다 크다

※ 머리가 크기 때문에 열손실 많다 → 예방 : 모자 씌워주기

- 귀 : 연골 발달이 덜 되어있다

- 관절 : 이완되어 있다 and 인위적인 힘에 의해 쉽게 조작되며 늘어져 있다 and 스카프징후

스카프징후란? 움직일 때 저항감이 있는 만삭아의 팔꿈치와 달리

미숙아의 팔꿈치는 별 저항없이 쉽게 가슴을 가로질러 닿는 징후

- 솜털 과하게 多

- 손/발바닥 : 주름이 적음 or 없음

- 생식기 : 男 - 음낭주름이 거의 없다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상태이다

女 - 소음순 and 음핵 돌출되어 있다

- 태지 : 거의 없다 ※ 태지 : 태아의 몸표면을 덮고 있는 지방

- 반사 : 파악반사, 흡철반사, 연하반사가 없거나 약하다

- 무호흡 ▷ 환기가 저하됨 → 빈번하게 나타남

▷ 간호 ⓐ 기도청결

ⓑ 호흡 자극 Ex) 타진, 진동법

ⓒ 측위 취해주기

ⓓ 주의깊게 관찰 : 혈액가스 and 산소분압

- 위장관 : 기능 저하 → 증상 : 복부팽만, 영양소흡수/저장능력 감소

- 체온조절 : 기능 저하

→ 간호 ⓐ 보육기 or 방사보온기 적용

※ If) 방사보온기 사용시 불감성 수분손실을 주의하자!

ⓑ 통풍 최소화하기

ⓒ 체온손실 막기 : 목욕을 자주 시키지 않는다

ⓓ 체온 자주 측정하기

과숙아

ⓐ 정의 : 재태연령 42주 이상 신생아

ⓑ 특징

- 야위었다

- 눈을 뜨고 있음

- 기민한 모습

- 솜털 X

- 태지 : 감소

- 태반 : 노화로 인해 영양공급이 불충분 → 피부가 쭈글쭈글함 Why? 피하지방이 적어서

※ 피부 : 창백함 and 갈라져있음

- 머리카락 : 多

- 손톱 : 길다

※ 손톱 and 제대에 태변이 착색되어 있다 Why? 태변흡입 → 이로인한 합병증 제일 위험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동간호학 미숙아와 과숙아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일단은 미숙아와 과숙아 둘다 고위험 신생아로 분류가 되는데요!

이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은 임신주수에 따라 나눠집니다.

저 또한 주변에 미숙아 / 과숙아로 태어났다고 하는 친구들이 있었는데요

이들이 이렇게 태어났다고 해서 다른 이들과 다르게 자라는 것은 아니고

큰 문제 없이 성장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렇지만 산모는 아이가 잘못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서적인 간호와 정확한 설명 전달을 잘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