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험 신생아 ★
1) 구순열 Cleft lip
구개열 Cleft palate
• 정의 : 선천적으로 윗입술 or 입천장이 갈라지는 것
• 치료 : 구순성형술 ▷ 생후 3개월 실시
• 수술시기 : 구순열 → 가능한 빨리 실시
구개열 → 평균 12개월 정도 실시 Why? ⓐ 치아발육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함
ⓑ 언어장애 예방
• 수술 전 간호
- 가족수용성 증가
▷ 부모가 적극적인 감정 표현을 하게 함
▷ 수술의 성공에 대한 확신을 심어줌
- 영양공급
▷ 젖꼭지 : 구멍이 큰, 부드러운, 길이가 긴
▷ 앉혀서 수유 ※ 자세 : Upright sitting position
▷ 트림 : 자주시키기 Why? 질식 / 기침 감소하기 위해
▷ 위관영양 : 경우에 따라 실시
- 감염방지
▷ 파열부위 위생간호 - 세심한 간호 필요하다!
① 매 수유 시 입을 물로 깨끗이 씻는다
② 봉합선 → 생리식염수 거즈로 닦아준다
▷ 억제대 사용 : 수술 전날 팔꿈치 억제대를 경험해보도록 함 Why? 수술시 억제대 사용
◇ 미라억제대 - 머리/목 부위 치료 or 검사, 정맥천자, 인후검사, 위관영양 실시할 경우
- 잠시동안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
◇ 팔꿈치억제대 - 손을 얼굴로 가져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사용
- 구순수술, 두피정맥주사, 손상된피부를 긁지 못하게 하기 위해 사용
※ 억제대 주의점 ① 억제대 유지 확인 -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지?
활동제한이 있는지?
② 2시간마다 풀어주기 → 돌봄제공자가 있는 경우만!!
- 부모의 지지 : 수유방법 → 숟가락 옆 이용 or 고무끝이 달린 점적기 or 유아용 컵 사용 교육
- 로건 보우 Logan bow : 수술 후 실시함으로 미리 교육한다
↑ 로건 보우
• 수술 후 간호
- 분비물 흡인 and 기도개방 유지
▷ 구순열 수술한 경우 : 앙와위 or 측와위 취한다
절대로 엎드려 눕지 않도록 한다
If) 분비물 처리가 어렵다면? 부분적 측위 실시
구개열 수술한 경우 : 수술 후 복위 실시 Why? 분비물 흡인 방지 위해서
▷ 습도 유지
▷ 호흡 유도한다
▷ 봉합부위 부종이 있을 경우 :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 흡인 실시 : 잦고 강한 흡인 X
부드러운 흡인은 필요함 in 구강, 비인두
- 입술 봉합선 and 구강내 봉합선 상해 방지
▷ 측와위
▷ 로건 보우 : 금속장치
수술부위 이완 위해
봉합선 긴장 막기 위해 실시
▷ 팔꿈치 억제대 : 봉합선에 손이 가지 않도록 함
▷ 비외상성 수유 실시
▷ 금기 ① 설압자 사용
② 빨대 사용 → 대신 컵 사용
③ 입으로 숟가락 넣지 않도록
④ 노리개 젖꼭지
⑤ 울리면 안됨
▷ 마취에서 완전 깨어났을 경우 : 맑은 유동식 제공 → 별 문제 없으면 수유 실시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공부한 내용은 고위험신생아에게 발생하는
선천적 안면 장애 중 하나인 구순열 / 구개열 입니다.
속된 말로 언청이라고도 하는데요
입술이 갈라진 것은 구순열, 입천장이 갈라진 것은 구개열 입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적절한 수술 시기가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생리적황달, 병리적황달 (0) | 2022.07.08 |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기관식도루/식도폐색증, 밀폐항문) (0) | 2022.07.06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미숙아, 과숙아) (0) | 2022.07.04 |
[아동간호학] 청소년기의 발달 (신체발달, 사회화, 성생활) (0) | 2022.07.02 |
[아동간호학] 학령기의 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화, 영양) (0)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