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비뇨생식기장애(잠복고환, 음낭수종)

by 널스용 2022. 7. 11.
728x90
반응형

★ 고위험 신생아의 비뇨생식기장애 ★

1) 잠복고환

정의 ※ 고환 : 태생기에 신장아래 복강내에서 발생

① 태생기 마지막 2개월 동안(임신 8개월) 음낭내로 하강함

② 한쪽 or 양쪽 고환이 음낭내로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잠복고환이라고 함

수술 전 간호

ⓐ 부모 / 아동의 정서적지지

- 불임 or 동성애에 대한 불안지지

ⓑ 비밀보장

ⓒ 학령기 이전 : 고환고정술 실시 → 신체상과 관련된 정신적문제 발생 예방

수술 후 간호

ⓐ 견인

- 음낭 하부에 실시 : 고환을 음낭에 고정함 ▷ 5 ~ 7일 후 제거한다

- 무릎 편 자세로 다리 억제 실시함

ⓑ 얼음주머니 적용

- 환부불편감

- 부종예방

ⓒ 감염예방

- 청결유지 Ex) 통목욕, 거품목욕 피함

ⓓ 설명

- 수술 후 악성으로 진전 or 불임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음을 설명한다

- 이후에 추후관리를 받도록 한다

2) 음낭수종

정의

- 음낭 속 장액이 정상이상으로 축적된 것

- 후천적 원인 가능성도 있다 Ex) 선천적, 외상, 부고환염

증상

ⓐ 파동성 덩어리 촉진 in 음낭, 서혜관

ⓑ 음낭 비대

ⓒ 음낭이 난형으로 팽팽하게 변형됨

ⓓ 반투명한 액낭 + 광선투과

ⓔ 크기변동 없는 음낭수종 → 복강과 연결없는 생리적수종(비교통성) : 6 ~ 9개월 자연소실

종류

ⓐ 비교통성 음낭수종 - 출생시 발견

: 복강과 연결되지 않은 생리적 음낭수종으로 점차 흡수 → 자연소실(영아기 6~9개월)

※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 교통성 음낭수종 - 출생 몇 주후 처음 발견

: 초막돌기가 음낭과 복강을 연결해주어 탈장이 올 수 있다

※ 수술로 교정해야 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위험신생아의 비뇨생식기 장애 파트입니다.

벌써 7월 중반을 달려가고 있네요..

오늘도 힘내서 고생합시다

 

항상 화이팅 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