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감염(신생아패혈증, 괴사성장염, 칸디다=아구창)

by 널스용 2022. 7. 13.
728x90
반응형

★ 신생아의 감염 ★

1)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 원인

- 균 :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 미숙아에게 흔하다

Why? (만삭아가 재태기간 후반기)

모체로부터 받는 면역물질(Ig G)을 전달받지 못해 미숙아는 적은 양의 Ig G를 가짐

- 신생아는 병원균에 쉽게 감염된다

Why? Ig A(바이러스감염에 대항) and Ig M(그람양성균에 대항) 적기 때문에

• 증상 ※ 보통 애매하고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인다 → 신생아는 신체적증상을 자각 못함

- 주 양육자의 ' 뭔가 잘못되었다 ' 는 느낌으로 알 수 있다

- 특이적 증상

▷ 젖을 잘 빨지 않음, 식욕부진, 구토

▷ 발열 or 저체온

▷ 호흡곤란, 창백

▷ 차고 끈적한 피부, 황달

▷ 복부팽만

▷ 활동감소, 반사저하, 보채기

• 검사소견

- 감염의 증거

ⓐ 혈액 or CSF 배양할 경우 : 균 검출

ⓑ 모체 or 신생아의 혈청검사 Ex) 매독, 톡소플라즈마 Toxoplasma

- 염증의 증거

ⓐ 미성숙 WBC / 총 WBC 증가 : 세균감염 의미

ⓑ ESR 증가

ⓒ CRP 증가

ⓓ 경증일 경우 : 중성구 증가

중증일 경우 : 중성구 감소

• 치료 / 간호

- 혈액검사 결과 나오기 전까지 우선적 처치 : 약물 투여 Ex) 암피실린, 아미노글리코사이드

- 배양검사 이후 : 적합한 항생제 선택하여 사용

- 항생제 치료 : 증상이 해결된 이후 10 ~ 14일 계속하여야 한다

※ 적어도 5 ~ 7일 계속되어야만 한다

- 전염예방 : 에너지 보존 경제제공, 손씻기, 철저한 체액관리

2) 괴사성장염 Necrotizing Entero Colitis = NEC

증상

- 비특이적 증상: 기면, 수유곤란, 저혈압, 담즙 섞인 구토, 무호흡, 소변량감소, 체온불안정, 황달

- 특이적 증상: 복부팽만, 혈변, 위장정체, 국소적홍반 or 경결 in 복부

• 치료

- 내과적치료

ⓐ 금식 실시 : 진단 이후 실시

ⓑ 흡인 실시 : 비위관으로 흡인하여 복부압력 감소시킴

ⓒ 수액요법

ⓓ 항생제 투여

ⓔ 비경구적 영양공급 : 위관영양

ⓕ 방사선 검사 : 8 ~ 12시간마다 계속적인 검사 실시

- 외과적치료

ⓐ 범위가 넓을 경우 : 회장루술, 결장루술

ⓑ 후유증 : 단장증후군, 폐색 동반한 장유착, 지방흡수불량, 장기능저하로 인한 성장장애

- 수유 주의사항

ⓐ 일반적으로 7 ~ 10일 이후부터 수유 재실시함

ⓑ 처음 2회 : 끓인 물 or 전해질용액 투여

ⓒ 조제유 희석해서 수유 - 점진적으로 농도를 증가시켜준다

- 간호중재

ⓐ 둔부 피부손상 예방 : 기저귀 자주 교환 and 가능한 기저귀는 벗겨놓기

ⓑ 정맥 주입 + 금식 실시

ⓒ 활력징후 자주 실시

ⓓ 격리실 이용 Why? 교차감염 방지 위하여

ⓔ 수유 후 : 역류 and 흡인방지 위해 1시간 동안 우측위 or 복위 실시

3) 칸디다 = 아구창 Candidiasis

• 원인

- 감염 : 칸디다 알비칸스(모닐리아) 감염, 질 감염, 분만 시 산도 감염

- 위생환경 : 불결한 고무젖꼭지, 신생아실 오염, 조제실 오염

• 특징

- 가벼운 질환 : 구강 or 기저귀 부위에 국한된다

- 감염 위험 증가시키는 요인 : 항생제 치료, 점막약화, 면역억제치료, 흡인성 스테로이드 사용

• 증상

- 흰 반점 Like 우유응고물 : 호발부위 - 혀 끝, 입술, 뺨, 구강점막, 경구개

※ If) 이것을 떼어낼 경우 : 출혈이 되므로 우유 찌꺼기와 구별된다

• 간호중재

ⓐ 철저한 개인위생 : 무균적 우유조제, 우유병 20분 이상 자불소독, 개별화된 수유기기

칸디다 연고 사용 : Ex) 니스타틴 = 마이코스타틴 Nystatin = Mycostatin

※ 하루 4회 + 6시간마다 도포

수유 이후 물로 입안을 헹군 후 구강투여한다!

ⓒ 1% 젠티아나 바이올렛 = 1% Gentian Violet 용액 사용

※ 하루 1 ~ 2회 + 국소 도말

If) 만성인 경우 : 다른 항진균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 중탄산나트륨 연고 사용 ※ 피부에 자주색 착색이 일어난 경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생아의 감염 파트 공부해 보았습니다.

오늘 내용은 국가고시에 그렇게 많이 나오지는 않지만

우리가 아이를 키운다면 또는 키울 계획이 있다면 한번은 읽어봐볼 내용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아구창이 여기서 나오는 내용이었네요.. ㅎㅎ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꿀잠 주무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