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험 신생아의 호흡기장애 ★
1) 무호흡 = 미숙아 무호흡증
• 정의
① 신생아의 호흡이 20초 이상 정지
② 호흡정지의 지속시간과 관계없이 호흡정지에 청색증 and 서맥이 동반하는 경우
• 증상 및 특징
ⓐ 주기성 호흡의 일환으로 나타난다
ⓑ 미숙아에게 흔함
ⓒ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빈도는 증가한다
※ 증상 : 서맥, 청색증, 창백, 근긴장저하
• 치료
ⓐ 부드러운 촉각으로 호흡 자극 Ex) 가슴, 등 문지르기 / 체위변경 - 앙와위
ⓑ 흡인 : 비강 / 구강 / 인두
ⓒ 100% 산소 공급 : 저산소증 예방
ⓓ 메틸산틴 Methylxanthines 투여 : 중추신경계에서 호흡자극
→ Ex) 아미노필린 Aminophyline
테오필린 Theophyline
카페인 Caffeine
2) 특발성 호흡장애 증후군
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RDS - 호흡곤란증후군
• 정의
- 계면활성제(폐포를 팽창시킴)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환
Why? 폐 성숙도 미숙
• 증상 및 징후
ⓐ 호흡성산증 Why? 빈호흡 - 80~120회/분
※ 호흡성/대사성산증 → 뇌 손상위험
ⓑ 늑골함몰 Why? 창백, 청색증, 폐포확장 잘 되지가 않아서
ⓒ 양쪽 폐의 흡기성나음
※ 나음 : 염증으로 기관지/허파에 분비물이 있을 경우 청진기로 들을 수 있는 이상한 잡음
ⓓ 비익호흡 : 호기시 신음소리
ⓔ 결국은 폐포 안에 유리질막증 형성한다..
• 치료
ⓐ 비위관삽입 ※ 경구수유 - 흡인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 산혈증 교정 : 소듐 바이칼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 정맥투여
ⓒ 중성온도환경 제공 : 산소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 보조환기요법 실시 : 허탈된 폐 → 재팽창 도모
ⓔ 인공계면활성물질 투여
ⓕ 에크모 ECMO : Extra Corporeal Membrane Oxygeneration - 폐휴식을 도와줌
: 신체외부에 옥시제네레이터(Oxygenerator)를 두고 폐 대신 기구를 돌려 전신순환을 도모
ⓖ 필요할 경우 흡인 : 만약 흡인할 경우에 빠르고 부드럽게 삽입 → 정기적으로 행하진 않음
3) 호흡기합병증(태변흡인증후군, 미숙아망막증)
□ 태변흡인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MAS
• 정의
: 항문괄약근 이완 Why? 태아질식 or 자궁내스트레스
→ 태변이 자궁강내로 배출 → 태변이 함유된 양수가 신생아의 기도로 흡인된 상태
• 증상
ⓐ 출생 시 태변착색 in 피부 or 제대
ⓑ 빈호흡, 비익호흡, 저산소증, 청색증
ⓒ 서맥
ⓓ 근긴장도 저하
• 치료 및 간호
ⓐ 구강인두 / 비인두에 기관 내 튜브 삽입 → 계속적인 흡인 ▷ 첫 울음 전에
※ 호흡장애 증상관찰
ⓑ 헤드다운체위 Head down position
ⓒ 산혈증 치료 : 중탄산나트륨 투여
□ 미숙아 망막병 Retinopathy of Prematurity : ROP
• 정의
: 망막의 혈관생성과정에 장애가 발생 → 비정상으로 발달하는 혈관증식성 질환
→ 임신 33주 이전의 미숙아 망막이 섬유조직 and 혈관으로 대체되는 것
• 원인
ⓐ 동맥혈의 높은 산소분압
ⓑ 고농도의 산소요법 이후 주로 발생함 ※ 산소투여할 경우 산소농도에 주의하자!
• 증상
ⓐ 망막의 점진적인 혈관조직 증식
ⓑ 망막박리 → 실명가능성 초래
• 예방
: 산소농도 모니터링 - 고농도로 산소투여하지 않도록 주의깊게 관찰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위험신생아의 호흡기장애 파트 공부해 보았습니다.
증상과 치료가 비슷하기 때문에 한번에 다 암기하려고 하기 보다는
여러번에 나누어 자주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낮에는 햇빛이 따뜻해서 돌아다니니 땀이 나더라구요
공부도 좋지만 햇빛도 한번씩 보면서 비타민 D를 충전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ㅎㅎ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출생 시 신체상손상(두개외출혈-산류/두혈종, 상지마비, 쇄골골절) (0) | 2022.07.12 |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비뇨생식기장애(잠복고환, 음낭수종) (0) | 2022.07.11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생리적황달, 병리적황달 (0) | 2022.07.08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기관식도루/식도폐색증, 밀폐항문) (0) | 2022.07.06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선천적 안면장애(구순열/구개열)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