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간호학

[여성간호학] 태아 건강사정(태아초음파, 태동측정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복부둘레 측정, 생물리학적계수, 모체혈청검사, 태아전자감시, 양수천자)

by 널스용 2022. 6. 14.
728x90
반응형

1) 태아초음파

• 질식 : 방광 비우기

• 복식 : 방광 비우지 않고 팽만된 채 실시함

측정 부위 : LOA, LOP 좌하복부 / ROA, ROP 우하복부

둔위-등 방향 따라서 좌상복부 or 우상복부

검사 목적 : 태아자세, 태아위치, 다태임신 여부, 태아환경, 태아의 선천성 기형, 임신확인

• 결과 : 양수사정 - 양수지수

① 양수과다증(양수지수 24cm↑) : 식도폐쇄증, 무뇌아, 태아수종

② 양수과소증(양수지수 5cm↓) : 요로폐쇄증, 신장결손증, 태아질식, 성장지연

태반사정 :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진단, 태반 성숙도 측정

다태임신 : 태반, 양막의 양상 사정

2) 태동측정법 : 매일 아침마다 처음 10번의 태동이 있을 경우 → 노트에 기록

• 12시간 이내 태아운동이 10회 이하로 측정되면 보고한다

3) 자궁저부 높이 측정

• 검사 전 : 방광비우기, 태아성장과 임신기간/고위험요인 파악하기

• 검사 시 : 무릎 약간 구부리고 머리 and 어깨를 약간 상승시킨 앙와위

• 만약 비정상인 경우 : 비만, 자궁근종, 양수과다, 자궁 내 성장지연, 다태임신 의심 가능

4)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 준비 : 방광비우기, 베개 한개 정도 베고 무릎을 약간 구부린 자세를 유지한다

• 1단계 : 자궁저부 촉진, 태위(종위, 횡위) and 선진부(두부, 둔부) 확인한다

- 이 때 모양, 크기, 강도, 운동성 파악

• 2단계 : 자궁 옆면 촉진, 태아의 등 and 반대편(팔, 다리) 파악

• 3단계 : 하복부 촉진, 골반 진입 and 아두 태세 확인

- 1 ~ 3단계를 종합하여 태위, 태향 결정한다

• 4단계 : 검진자의 자세를 변경하여 모체 다리를 향해 서서 치골결합(자궁입구) 촉진

- 이 때, 하강정도와 아두 굴곡 여부 확인

5) 복부둘레 측정 : 임신 34주 이후 - 비정상을 가려내기 위해 배꼽을 중심으로 측정

6) 생물리학적계수 Biophysical Profile = BPP

• 검사목적 : 태아의 안녕상태 확인, 태아 사망위험 인지

• 검사항목 : 태아 호흡운동, 태아 긴장력, 태아 심박동 반응성, 양수량

• 검사방법 : 초음파를 통하여 30분간 관찰 (심박동 제외)

항목
정상 - 2점
비정상 - 0점
태아 호흡운동
• 30분 관찰 중 30초↑, 지속호흡 1회↑
• 30분 관찰 중 호흡 30초↓
태동
• 30분 관찰 중 사지/몸통 태동 3회↑
• 30분 관찰 중 태동 3회↓
태아 긴장력
• 사지가 굴곡에서 신전
: 즉시 굴곡되는 운동 1회↑
• 움직임이 없는 경우
• 신전 / 굴곡하지 않는 경우
심박동 반응성
• 20 ~ 40분 관찰 중
: 15회/분↑, 15초↑ 지속되는 심박수 2회↑
• 20 ~ 40분 관찰 중
: 관찰 태아 심박수 증가가 없음 or 1회
양수량
• 수직으로 2cm 넘는 양수포켓이 있는 경우
• 양수지수가 5cm↑ 경우
• 수직으로 2cm 넘는 양수포켓이 없는 경우
• 양수지수가 5cm↓ 경우

7) 모체혈청 검사 : 임신 15 ~ 20주 사이 시행하는 기형아검사

If) 비정상 결과일 경우 : 양수천자검사 시행한다

• 알파프로테인 = AFP : 신경관 결함의 위험이 있는 경우 태아 확인

• 베타융모성선 자극호르몬 = B-hCG

: 임신 10주(60 ~ 90일) - 농도가 최고치로 달한다 → 임신 2 ~ 3기에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 If) 임신 2기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 → 포상기태 or 다태임신

에스트로겐-에스트리올 :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 태아-태반의 안녕상태 평가 기준이 된다

• 인히빈 A = Inhibin A :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 3중검사에 추가로 실시하는 검사

: 임신 중 태아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다

8) 태아전자감시 Electronic Fetal Monitoring : 지속적 태아 심음 관찰

• 태아 심박동 측정 위해 실시 - 태아의 건강상태 확인

• 그래프 종이 : 세로 (태아의 분당 심박동수)

가로 (시간)

기록용지 (자궁수축 간격, 기간, 강도)

• 결과가 정상인 경우 : 120 ~ 160회/분

일과성서맥 - 자궁수축 시 태아심음이 110 ~ 120회/분으로 감소함

※ 아두압박 → 미주신경 긴장유발

•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 : 후기감퇴 - 자궁 and 태반의 부적절한 혈액순환

※ 간호 : 좌측위, 산소공급(10L/분)

가변성감퇴 - 제대압박

※ 간호 : 좌측위, 골반고위, 산소공급(10L/분)

무자극검사 Non-Stress test = NST : 태동에 대한 반응

- 태아심박수가 적절하게 증가하는지 검사 → 태아의 건강상태를 사정한다

- 결과가 정상인 경우 : 20분 동안 2회↑, 15초↑

기준선보다 15박동(BPM) 이상↑

• 자궁수축검사 Contraction Stress test = CST

- 태아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자궁-태반의 순환이상 확인한다 ※ 유두자극, 옥시토신 자극

- 음성 : 10분 동안 3회 수축이 적절한 빈도로 있는 경우 → 태아심음의 후기감퇴가 없다

- 양성 : 후기감퇴 O

태아질식 간호

- 산모자세 변경, 산소공급, 원인에 따른 중재

9) 양수천자

• 목적 : 고령임부(35세↑), 염색체 이상, 선천적 대사이상, 신경관 결손 이상

• 인지질분석 (L/S 비율) : 2.0↑ → 계면활성제 생산 증가를 의미한다

• 쉐이크검사 : L/S 비율 2.0↑ → 거품발생

• 양수사정 : 태아의 재태연령↑, 태아 or 모체의 스트레스 요인 - 감염, 저산소증

→ 양수태변 착색 → 태변흡인 증후군, 태아산증, 태아심음이상의 위험

안녕하세요

오늘은 태아의 검강사정 방법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많은 방법들이 있겠지만, 국가고시에 자주 나오는 내용은

빨강/파랑색으로 표현해 놓았으니 보시고 암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ㅎㅎ

오늘 하루도 화이팅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