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아발달
- 성세포 형성과정
ⓐ 정자의 발생과정 : 22 + XY
정원세포의 영양물질이 4개 정자로 나뉜다
ⓑ 난자의 발생과정 : 22 + XX
난원세포의 영양물질이 1개 난자세포로 집중된다
- 수정 and 착상과정
① 정자이동 : 1억개/ml ※ 한번 사정 시 나오는 정액 평균량 → 대략 3 ~ 3.5ml
24 ~ 48시간 내 수정이 가능하다
질(약산성)에서 느리다 But, 자궁강(알칼리성)에서는 빠르다
4 ~ 6시간 이후 나팔관 도달한다
② 난자 : 나팔관의 섬모운동 + 연동운동에 의해 난관팽대부로 이동한다
③ 수정 : 핵융합 ( 정자 and 난자 ) → 24시간 소요된다
난관팽대부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④ 수정란 이동 : 점막 상피세포의 섬모에 의한 섬모운동 + 연동운동 + 난관의 수축운동
⑤ 발달과정 : 접합자(정자+난자) → 상실배(난할과정)
→ 배포(배아와의 첫 중요한 구분 의미) ※ 외세포 / 내세포로 구분된다
⑥ 착상 : 외층세포(배포) → 영양배엽, 내세포덩어리 → 배아, 원시융모
→ 융모막 융모로 발전한다 ※ 융모성선자극호르몬 hCG분비
- 태아 초기배엽에서 생성되는 기관 and 조직
ⓐ 배아 : 수정 2 ~ 8주 ※ 주요 기관이 대부분 형성되는 시기이다
ⓑ 난황 : 배아에게 영양분 공급 → 태반 형성 전 2 ~ 3주까지
혈구생성 → 간에서 혈구생성하는 6주까지
ⓒ 초기배엽 : 3주부터 형성된다
• 외배엽 -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피부, 손톱, 발톱, 머리, 땀샘, 치아 애나멜
• 중배엽 - 근육, 뼈, 연골, 치아의 상아질, 인대, 건, 비뇨 생식기계, 심맥관계
• 내배엽 - 소화기계, 호흡기계(코 제외), 흉선, 간, 췌장, 방광, 요도, 갑상선, 고막
- 시기별 주요 발달 과정
임신 3개월
|
• 신장생성 → 방광 소변 생성
• 뼈 골화 시작 Occification
• 도플러 - 태아심박동 청취가능
• 12주 - 성 감별 가능, 인공유산의 기준
32주 - 손톱 서서히 발달시작
36주 - 발톱 완전 형성
|
|
임신 4개월
|
• 머리카락 생성 / 솜털 생성 시작
• 사지운동 활발
• 고환 : 앞골반 부위 도달
• 16주 - 소변이 양수로 배출됨
|
|
임신 5개월
|
• 피부 : 솜털이 온몸을 덮음
지방샘에서 태지 형성 Vernix caseosa
• 태아심음 들림 = FHT, Fetal Heart Tone
• 16 ~ 18주 - 첫 태동 Quickening → 태동 → 모아애착형성
20주 - 최종월경주기(LMP) 22주, 태아체중 500g 이상
|
|
임신 6개월
|
• 폐포 : 폐 계면활성제 생성 시작
• 뚜렷한 머리카락
• 피부 : 주름多, 붉은색, 지방조직 축적, 땀샘형성
|
|
임신 7개월
|
• 폐포가 성숙되어 간다
→ 레시틴이 양수 내에 발생 ( 26 ~ 27주 ) → 태아가 생존능력을 얻는다
• 고환이 음낭으로 하강하기 시작
• 피부 : 주름 감소, 붉은색
|
|
임신 8개월
|
• 주기적인 호흡운동 발생 ※ L/S 비율 = 1.2 : 1
•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하강
• 피부 : 피하지방 빠르게 축적시작, 붉고 쭈글쭈글한 모양, 태지/솜털 있다
|
|
임신 9개월
|
• 피부 : 지방축적으로 인해 몸이 둥글둥글 해진다 → 체중증가가 현저하게 보인다
솜털이 사라지기 시작함
덜 붉고 주름 소실
• 폐성숙 : L/S 비율 = 2 : 1 이상
|
|
임신 10개월
|
• 피부 : 태지로 덮여있다, 솜털은 대부분 사라짐, 풍성한 머리털, 부드럽고 분홍색
• 음낭 안에 고환이 있다 ※ 대음순이 잘 발달됨
• Ig G 모체에서 태아로 가장 이동 많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태아의 발달과 생리, 임신 시기별 주요 발달 과정입니다.
오늘 하루도 잘 보내셨나요?
고생 많으셨고 오늘 마무리 잘하시고 내일 하루도 열심히 살아봅시다~
긴 목표를 세우는 것보단 하루하루에 충실하는 하루를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화이팅입니다! ^^
'여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 유도분만, 흡입분만, 제왕절개, 회음절개술 (0) | 2022.06.15 |
---|---|
[여성간호학] 태아 건강사정(태아초음파, 태동측정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복부둘레 측정, 생물리학적계수, 모체혈청검사, 태아전자감시, 양수천자) (0) | 2022.06.14 |
[여성간호학] 고위험 임신간호(출혈성 건강문제 - 유산의 종류, 자궁경관무력증, 자궁 외 임신, 포상기태,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0) | 2022.06.12 |
[여성간호학] 임신의 징후(추정적, 가정적, 확정적) 및 증상 (0) | 2022.06.11 |
[여성간호학] 산모의 내과적문제(임신성당뇨, 갑상선기능장애, 심장질환, 빈혈) (0) | 2022.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