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신성 당뇨 Gestational Diabetes
• 정의
-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변화에 의해 임신 도중 발견, 출산 후 회복한다.
• 당뇨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
- 임신을 하는 경우 당에 미치는 영향
ⓐ 태반락토젠, 성장호르몬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초래
→ ⓑ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됨
→ ⓒ 만약 요구량에 미치지 못한다면 임신성 당뇨병이 초래된다..
※ 임신 시기별 인슐린 요구량
▷ 임신 1기 :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인슐린 요구량이 감소됨 Why? 임부의 칼로리 감소
▷ 임신 2기 : 인슐린 요구량 증가 Why? 태반호르몬의 항인슐린 성질로 인해
▷ 임신 3기 : 인슐린 요구량이 현저히 증가 Why? 태반호르몬의 증가
▷ 분만 : 인슐린 요구량 감소 Why? 분만 도중의 불편함과 신진대사 증가
▷ 분만 이후 : 인슐린 요구량이 현저히 감소 Why? 태반호르몬 감소
If) 산후감염이 있는 경우?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한다!!
-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
: 감염 위험성 증가 ex) 모닐리아성 질염
임신성 고혈압 ex) 자간전증
당뇨병성 신증 Nephropathy
당뇨병성 신경병증
산후 출혈의 빈도↑
케톤산증
거대아로 인한 난산
양수과다증 Hydramnios
-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거대아
저혈당증
고인슐린혈증
저칼슘혈증
호흡곤란증
고빌리루빈 혈증
선천형기형
• 질병 발병부터 치료까지 순서
① 선별검사 시행함(50g 경구당부하 검사) - 임신 24~28주
② 검사 후 양성의 조건: 1시간 이후 혈장 내 혈당 140mg/dL, 고위험 산모의 경우(130mg/dL이상)
③ 만약 양성일 경우 - 100g 경구당부하 검사시행
④ 100g 검사 이후 : 공복혈당과 1, 2, 3hr 후 혈당 중 2개 이상이 증가된다면 당뇨로 진단함.
하나만 증가되어 있는 경우 - 32주에 재검사 실시한다!!
⑤ 치료 : 영양요구량은 비당뇨인 임산부와 동일하다
ex) 탄수화물 40~50%, 지방 30~35%, 단백질 20~25%
혈당 지수 높은 음식을 피한다
규칙적 식사/운동을 유지한다 If) 운동 시 고혈압성 합병증 있다면 중단해라!
필요한 경우 인슐린 사용 - 경구용 혈당강하제 금기 Why? 태아기형 위험 O
2) 임부의 갑상선 기능장애 Thyroid Gland Disorder
• 임신이 임부의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 크기가 커진다 Why? 갑상샘의 과형성 and 혈액공급의 증가
- 혈청 티록신의 수치가 상승한다 Why?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인해 in 태반
• 종류
ⓐ 갑상선 기능항진증 Hyperthyroidism
- 대표적 질환: 그레이브즈병 Grave's
- 그 외 증상: 심계항진, 심부전, 갑상선비대, 안구돌출, 발한, 갑상선위기 Thyroid crisis
※ 치료 : 즉각적인 수액공급/전해질 투여, 혈압조절, 항갑상선제제(PTU) 투여
ⓑ 갑상선 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 발병하는 것이 일단 드물긴 하다 Why? 불임 and 임신초기 유산을 유발하기 때문에
- 증상 : 자가면역성, 피로감, 식욕부진, 자간전증, 태반조기박리, 저체중 출산아, 자연유산
※ 치료 : Synthyroid 투여한다
3) 임부의 심장질환 Heart Disease
• 발병이유
: 임신 도중 혈액량의 증가로 인한 심장의 부담 증가로 발병한다.
• 출산 전 관리
- 체중증가 제한( 7~8kg )
- 식단관리 : 고단백, 저염식이, 철분보충, 카페인 제한
- 감염예방 Why? 감염으로 인한 심장부담과 손상을 예방한다
- 필요시 이뇨제 투여
- 만약 임신 전에 받은 강심제가 있는 경우? 계속해서 복용한다!
• 주의사항
- 분만 1기 : 진통제 투여한다 Why? 분만 시 통증의 감소 → 심장부담을 줄여준다!
- 분만 직후 24hr 가장 위험하다!
Why? 자궁-태반의 순환소실로 인해 조직 내 수분이 혈관내로 이동
→ 정맥귀환의 증가를 초래 → 심박출량의 갑작스런 증가
※ 이때 자궁수축제(Methergine) 투여금지 Why? 혈압상승을 유발하기 때문
4) 임부의 빈혈 Anemia
• 빈혈기준
ⓐ 임신 전기 : 헤모글로빈 11g/dL
헤마토크릿 37%
ⓑ 임신 중기 : 헤모글로빈 10.5g/dL
헤마토크릿 35%
ⓒ 임신 후기 : 헤모글로빈 10g/dL
헤마토크릿 33%
• 종류
- 철분 결핍성 빈혈
: 혈장량의 증가 → 철분의 농도 감소 → 감염의 빈도 증가 and 산후 출혈 위험 초래
- 엽산 결핍성 빈혈
: 다태 임신의 영향을 받음
• 치료
- 식단관리 : 철분/엽산이 풍부한 식이섭취, 원인에 따른 경구용철분/엽산을 처방받아 복용
※ 철분복용할 경우 흑변, 변비,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 효과적으로 철분을 흡수하기 위해 공복 or 식후(위장장애 있는 경우)에 섭취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모의 내과적인 문제에 대한 글을 써보았습니다.
글을 쓰면서 좋은 점은 예전에 배웠던 내용을 리마인드하는 느낌이 들어 좋습니다.
본문에서 적혀 있는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임산부의 당뇨조절은 상당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
만약 산부가 심질환이 있는 경우는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모든 임산부 분들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출산을 하여 이쁜 아기를 낳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여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 고위험 임신간호(출혈성 건강문제 - 유산의 종류, 자궁경관무력증, 자궁 외 임신, 포상기태,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0) | 2022.06.12 |
---|---|
[여성간호학] 임신의 징후(추정적, 가정적, 확정적) 및 증상 (0) | 2022.06.11 |
[여성간호학] 산부의 고혈압성 건강문제 (0) | 2022.06.08 |
[여성간호학] 임신시기별 특징, 증상, 간호중재(1기, 2기, 3기) (0) | 2021.05.30 |
[여성간호학] 난임(불임) 여성간호 (0) | 2021.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