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 불임 sterility
- 정의
: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으며 정상적 성생활을 하는데 1년안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
- 원인
ⓐ 男 경우 : 무정자증, 성숙부전(정자), 정자결핍증, 잠복고환, 과다음주, 흡연, 정신이상
ⓑ 女 경우 : 발육이상(자궁결여, 성선부전난소장애), 심한빈혈,마른체격, 내분비이상,생식기이상
- 진단
① 남성이 먼저 검사함 Why? 남성이 무정자증일 경우 → 여성의 검사로 원인규명 불가능
② 불임기초검사
남성 | - 정액검사 : 정상정자의 생산여부 파악 | |
여성 | - 배란검사 : 성숙난자의 배란여부 파악 (기초체온 측정 : 배란되는 경우 24시간 이내 체온 0.5~1℃ 상승함) - 경관점액검사 ⓐ 정자운송과 저장에 적당한 경관점액 여부 파악 ⓑ 혈중 에스트로겐 최고치 : 배란기 시행 ⓒ 정상점액 : 물같이 묽고 투명 and 세포성분/균이 없다 ※ 견사성 : 8 ~ 10cm 양치엽상 ( → 고사리 잎모양을 의미한다 ) - 루빈검사 Rubin Test : 정자와 수정란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난관개방 여부 확인 ※ 정상 : 대상자가 견갑통을 호소함 → 적어도 한쪽 난관이 개방되어 있다는 증거 - 자궁난관조영술 : 난관소통/난관강 이상여부, 월경끝 2~3일 후 경관으로 조영제 주입 → 자궁/난관 방사선 촬영 - 복강경검사 : 복강내 내시경을 삽입 → 복강, 골반장기, 난관 관찰 → 불임요인 파악 - 자궁내막생검 : 자궁내막이 수정란 착상에 적합한지 파악할 수 있다 ※ 자궁내막이 가장 비후되는 황체기 시행 = 월경시작 2~3일 전 |
|
상호작용 | - 성교후 검사 : 성교 이후 여성의 경관점액상태 and 정자상태 파악 |
난임(불임) 부부의 간호 = 간호사의 역할
- 신뢰적 치료관계 형성
: 불임부부가 자신들의 입장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 and 좋은 청취자가 되줌
- 정보제공/교육
: 진단검사 and 치료과정에 대한 정보제공/교육 실시
- 스트레스해소
: 불임부부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
If) 원인이 정신적요인일 경우 → 정신과 상담/치료 권유
- 성생활에 대한 견해
: 성생활이 아이를 갖기 위한 의무적(기계적)인 행위가 되지 않도록 함
안녕하세요!
병원 부서 이동이 있어서 적응하느라
오랜만에 글을 올려봅니다! ㅠㅠ
오늘은 많은 부부들이 실제로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난임(불임)에 관한 파트입니다.
진단 시 남성이 먼저 무정자증인지를 확인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성의 경우 다양한 검사를 통해 난임의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희는 간호사로서 당연히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이 병원에 찾아와 저희의 환자로서
방문한다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잘 케어하고 치료과정/진단검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통해 불안감을 조금이나마 해소시켜주어야 할 것 입니다.
이제 슬슬 낮에는 반팔을 입어도 될듯한 날씨가 반복되네요..
여러분 모두 여름이 오기전 운동을 해서 건강한 몸을 만들어봅시다!!
'여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 산부의 고혈압성 건강문제 (0) | 2022.06.08 |
---|---|
[여성간호학] 임신시기별 특징, 증상, 간호중재(1기, 2기, 3기) (0) | 2021.05.30 |
[여성간호학] 생식기 구조이상 간호(자궁탈수, 자궁전방/후방전위, 생식기누공, 복압성요실금) (0) | 2021.05.11 |
[여성간호학] 자궁내막질환 간호(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폴립) (0) | 2021.05.09 |
[여성간호학] 성전파성질환(에이즈, 단순포진바이러스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감염,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0) | 2021.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