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아동의 심혈관장애(급성 류마티스열, 가와사키 질환)

by 널스용 2022. 8. 1.
728x90
반응형

★ 아동의 심혈관장애 ★

1) 급성 류마티스열 Acute Rheumatic Fever = ARF

• 원인

- 주원인 : A군 B-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조직의 자가 면역 반응

Group A B-hemolytic streptococcus

- 기타원인 : 낮은 경제력 / 생활수준, 인구밀집지역, 가족력, 차고 습한 기후 (초봄/가을/겨울)

• 병태생리

① 연쇄상구균 감염 Ex) 인두염, 성홍열, 중이염

②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체형성

③ 항체가 조직 항원에 교차반응 유발

④ 신체의 다른 조직 손상 Ex) 심장, 관절

• 증상

- 일반 증상

ⓐ 미열 - 보통 늦은 오후에 최고

ⓑ 원인 불명의 비출혈

ⓒ 기타증상 : 복통, 관절통, 허약, 피로, 창백, 식욕감퇴, 체중감소

- 특수 증상

ⓐ 심염

§ 빈맥, 심비대, 심잡음, 마찰음, 심장부 통증, 심전도 변화(P-R간격 연장), 부종, 간비대

ⓑ 이동성 다발성 관절염

§ 부종, 관절 종창, 열감, 동통

§ 호발부위 : 주로 큰관절(무릎, 팔꿈치, 팔목)에서 1~2일 후 다른 관절로 이동함

ⓒ 변연성 홍반 Erythema Marginatum

§ 정의 : 중심부가 희고 경계선이 명확한 물결모양의 홍반성 구진

§ 증상 : 소양증을 동반하지 않는 일과성 반점

§ 호발부위 : 몸통 + 사지

ⓓ 무도증 Chorea

§ 정의 : 갑작스런 사지의 불수의적이고 불규칙적인 움직임

§ 증상 : 이마주름, 언어장애, 불안정한 정서

§ 특징 : 보통 불안하거나 정밀한 작업할 경우 증상이 악화되고 쉬거나 수면중에 완화

ⓔ 피하결절 Subcutaneous node

§ 정의 : 관절의 굴곡근 표면과 뼈 돌출부위에 통증이 없는 결절 - 수일 내 소실됨

• 진단

- 조직학검사 : 침범된 부위에서 염증성 용혈성 수포성 병변 발견 = Aschoff body

-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체 역가 상승 = ASLO

ESR 상승

CRP 상승

P-R 간격 연장

• 치료

- 약물투여 : 페니실린 경구 PO 1일 2회 또는 근육주사 IM 매달 1회

If) 판막이 침범되었을 경우 : 프레드니손 Prednisone 사용 - 영구적인 심장손상 방지

간호중재

- 연쇄상구균으로 인한 상기도 감염인 경우 빠른 시간 내 치료해야만 한다

- 급성기 동안 침상안정 실시

- 흥미있는 활동을 하도록 격려

- 주기적인 체위변경 : 피부와 관절 압력 감소 ※ 크레들 침상 사용해주기

- 균형잡힌 식이 : 열 or 감염이 있는 경우 적절한 단백질 + 칼로리 섭취

- 페니실린 예방적 투여의 중요성 교육

§ 급성기부터 실시 : 페니실린 경구 1일 2회 or 매달 1회 근육주사 실시

설파디아진 복용 Sulfadiazine

§ 류마티스성 심질환 가능성 있기 때문에 3 ~ 5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합병증 - 류마티스성 심질환

- 만약 심장 판막을 침범한 경우 : 만성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 주로 염증 이후 석회화로 인한 판막 변형이 초래되어 영구적인 기능부전이 생길 수 있다

- 심할 경우 수십년 후 치명적인 심부전 유발 가능성도 있다

1) 가와사키 질환 Kawasaki Disease

• 특징

- 정의 : 피부점막 림프절 증후군으로 신체 계통의 이상을 초래함

- 호발연령 : 영아 or 5세 이하 아동 ※ 원인불명의 급성 열성 질환

- 심혈관계에 일차적으로 발병함 → 혈관염이 진행되며 혈관벽에 손상을 주기 때문

- 가장 흔한 후유증 :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동맥류 형성

• 일반 증상

- 5일 이상의 고열 : 항생제 +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음

- 양측 안구의 결막 충혈 ※ 보통 분비물이 없는 충혈 → 눈꼽 X

- 구강 점막 변화 : 입술 홍조, 마르고 갈라짐, 딸기 모양 혀

사지 말단 변화 : 손발부종, 손바닥의 홍반 + 갈라짐, 피부 낙설 ※ 소양증 동반

- 부정형 발진 : 몸통부터 시작함 ※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 발진

- 경부 임파선 종창 = 림프선 종창 ※ 1.5cm 이상

- 기타증상 : 불안정, 기면, 소양증

• 시기별 증상

- 급성기 ( 8 ~ 10일 )

ⓐ 해열제로 떨어지지 않는 고열

ⓑ 백혈구 + 혈소판 수 증가

ⓒ 단백뇨

ⓓ 홍반성 발진

ⓔ 임파선증

ⓕ 결막충혈

ⓖ 손,발 종창

ⓗ 입술 홍반 + 균열

ⓘ 딸기 모양 혀

- 아급성기 ( 10 ~ 35일 )

ⓐ 해열과 더불어 급성기 증상이 소실됨

ⓑ 심하게 보챔

ⓒ 식욕부진

ⓓ 손발 피부 낙진

ⓔ 관절염 + 관절통

- 회복기

ⓐ 모든 임상증상 소실

ⓑ 혈액 검사 정상화

• 합병증

- 무균성 뇌막염

- 심질환 Ex) 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심근경색증 - 치료하지 않을 경우 : 20 ~ 25% 심장 합병증 발생

• 치료

-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주입 : 과민성 쇼크 주의

Why? 발열기간 감소 + 관상동맥 기형 유발 방지 위해

- 아스피린 투여

초기 : 항염증성 용량

회복기 : 항혈소판 용량 - 다량 투여

- 부작용 : 오심, 구토, 이명, 발한, 과호흡, 출혈성향 증가 = 혈액 응고시간 지연

- 수술적 중재 : 심장동맥 확장술, 관상동맥 바이패스 이식술, 심장 이식

• 간호중재

- 심혈관 손상예방

- 탈수 방지

- 체온조절

- 안위 + 휴식 제공

- 피부통합성 증진

- 성장 + 발달 증진

- 음식 : 살균된 것으로 부드러운 음식 제공

- 고용량 아스피린 투여 : 독성증상 → 증상교육 Ex) 이명, 투통, 어지러움, 혼돈, 출혈 성향↑

- 생백신 투여 : 면역글로불린 투여 11개월 이후로 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동의 심혈관 장애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번 파트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라 하면

급성 류마티스열의 간호중재인 페니실린 투여에 대한 간호사의 교육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같이 열심히 노력해서 우리 멋진 간호사가 되어봅시다

항상 여러분을 응원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