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의 비뇨생식기 장애 ★
1)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 UTI
• 정의
- 감염 : 요로의 하부기관 Ex) 요도, 방광
신장부위 상부기관 Ex) 신우, 신실질
• 원인
- 대장균 E coli : 원인의 80% 차지
- 방광의 과도팽창
- 꽉 끼는 기저귀 or 팬티 착용
• 특징
ⓐ 호발성별 : 여 > 남
Why? 해부학적으로 짧은 요도, 항문과 가까운 요도로 세균 번식 빠름
ⓑ 호발연령 : 2개월 ~ 2세까지 호발
※ 기저귀 차는 시간이 길어서 변에 오염된 요도 통해 감염
ⓒ 빈번한 재발
※ 소변 정체 시 균증식에 좋은 장소가 됨 → 완전한 방광배뇨가 중요함
• 증상
ⓐ 상부요로감염 : 발열, 오한, 옆구리통증, 탁한 소변, 불쾌하고 비린 냄새의 소변
하부요로감염 : 빈뇨, 배뇨곤란, 배뇨 시 통증/혈뇨
ⓑ 요로감염 多 → 무증상
• 진단
- 소변배양검사 : 세균 확인 가능함
• 간호중재
ⓐ 항생제 투여 Ex) 페니실린 Penicillin
설포나마이드 Sulfonamide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 배뇨현상 관찰
※ 소변을 참지 않도록 한다
소변 볼때 천천히 방광을 비우도록 교육한다
ⓒ 기저귀 자주 갈아주기 → 면팬티 권장
ⓓ 샤워 > 통목욕 권장 ※ 거품목욕 금지
ⓔ 여아의 경우 : 회음부 위생교육 ※ 앞에서 뒤로 닦도록 교육한다
ⓕ 충분한 수분섭취
ⓖ 추후 지속적인 관리로 재발예방
2) 폐쇄성 요로질환
• 병태생리
▷ 요정체 → 수뇨관증 → 수신증 → 감염 → 신조직 파괴
※ 상부 비뇨기관 폐색이 있을 경우
: 합병증 Ex) 요로감염, 신반흔 형성, 고혈압
※ 하부 비뇨기관 폐색이 있을 경우
: 배뇨이상 증상 Ex) 배뇨곤란, 빈뇨, 유뇨, 요흐름약함, 배뇨시 긴장, 배뇨 돌연 중단
• 간호중재
▷ 요로감염 예방 최우선
ⓐ 여아의 경우 : 회음부 청결관리 교육 ※ 앞 → 뒤 닦도록 방향지도
ⓑ 교육 : 방광팽만, 잔뇨, 소변 참기 피하기 ※ 정체된 요 → 세균성장 배지
ⓒ 금지 : 통목욕, 거품목욕, 몸에 꽉끼는 옷 입기
ⓓ 요 관리 : 알칼리성뇨/농축뇨 금기 → 산성뇨 유지식이 Ex) 사과주스, 동물성단백질, 비타민C
ⓔ 세척 : 항세균성 용액
ⓕ 수분섭취 권장
3) 급성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 ARF
• 병태생리
▷ 신단위 손상 → 신장혈류량 감소 → 신장환류 저하
→ 실질손상 ※ 광범위하고 심각한 신혈류량 저하는 피질 and 세뇨관 괴사 발생시킨다
▷ 사구체 여과율 심한 감소 → BUN 증가 → 근위세뇨관 : 나트륨 재흡수 감소
• 원인
- 신장의 기능상실 : 음식/수분섭취, 기관의 피로에 반응하여 소변의 농축도/양 조절능력을 상실
- 탈수 : 설사, 지속적인 구토 ※ 아동의 급성신부전 주원인
• 증상
ⓐ 빈뇨 or 무뇨증 : 질소혈증, 산증, 전해질이상과 관련됨
ⓑ 경증이 있을 경우 : 고혈압, 체온상승, 건조한 점막, 피부탄력성 저하, 핍뇨
ⓒ 빈혈, 혈소판감소, 소변(단백 or 적혈구)
ⓓ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가능성
• 치료
ⓐ 이뇨제 사용 : 수분공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핍뇨 지속됨
ⓑ 조기발견 : 고혈압(합병증) 발생 위험으로 인해 4 ~ 6시간 마다 혈압 측정해준다
• 간호중재
ⓐ 지속적 관찰 : 수분균형
ⓑ 수액요법
ⓒ 전해질 / 산염기 균형유지
ⓓ 혈압조절
ⓔ 감염가능성 최소화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동의 비뇨생식기 장애
요로감염, 폐쇄성요로질환, 급성신부전에 대하여 공부해보았습니다.
어느덧 블로그를 써온지도 많은 시간이 흘렀네요 ㄷㄷ
공부한 흔적들이 남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도 화이팅합시다!!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아동의 호흡기장애 2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폐렴, 크룹증후군 - 급성후두개염 / 급성후두기관기관지염) (0) | 2022.07.31 |
---|---|
[아동간호학] 아동의 호흡기장애 1 (급성 인두염, 편도선염) (0) | 2022.07.26 |
[아동간호학] 아동의 비뇨생식기 장애(급성 사구체신염, 신증후군) (0) | 2022.07.23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선천거대결장=히르슈슈프룽병, 서혜부탈장, 요충증) (0) | 2022.07.22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선천성유문협착증, 장중첩증, 산통)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