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선천거대결장=히르슈슈프룽병, 서혜부탈장, 요충증)

by 널스용 2022. 7. 22.
728x90
반응형

★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 ★

1) 선천거대결장 Congenital megacolon = 히르슈슈프룽병

• 정의 및 특징

- 선천적임, 다운증후근에 호발함

- 원위부 결장 and 직장

: 부교감 신경절 부재 → 불충분한 연동운동 발생 → 기계적인 장폐색을 초래함

- 호발성별비율 : 남아(4배) > 여아

증상

ⓐ 태변배출지연, 만성적 변비, 복부팽만, 담즙성구토

ⓑ 무기력, 식욕부진, 발열, 체중증가X

ⓒ 리본모양의 악취나는 변

※ 좌측하복부(LLQ) : 대변덩어리 촉진됨

ⓔ 직장검진할 경우 : 직장은 비어있다

ⓔ 동반하는 합병증: 장천공, 패혈증

진단

- 직장 내압 검사

- 단순 복부 촬영

- 바륨 관장

- 신경절 부재 확인 Rectal biopsy

• 치료

- 신경절 부재인 부위를 절제 → 일시적인 결장루 → 장휴식도모 / 영양균형 회복위해 실시함

- 1세가 될 경우 : 문합술 실시

• 간호중재

ⓐ 변비해소 : 등장성 관장법 - N/S Enema ※ 소금 1Ts : 물 500cc

ⓑ 저잔여식이 : 조금씩 자주 섭취

ⓒ IV 수액요법 Why? 고영양요법 위하여

ⓓ 장음청취

ⓔ I/O 확인

ⓕ 장루(Stoma) 관리교육 + 정서적 지지

- S상 결장루인 경우 : 기저귀 착용 가능

Sigmoid colostomy

- 횡행 결장루인 경우 : 항상 스툴백(Stool bag) 착용 + 톡목욕 금기 교육

T-colostomy

- 매일 장루 주변 피부 사정 + 피부간호 실시

- 즉각적인 욕구충족

2) 서혜부탈장 Inguinal hernia

• 정의 및 특징

- 호발多 : 하복부 or 골반에 기형을 가진 신생아 + 미숙아

- 출생 후 자연스럽게 소실되어야할 초상돌기가 그대로 남아있음

→ 복막의 관이 닫히지 않게 됨

→ 복막강 속 소장이 음낭으로 탈출되어 내려옴

- 호발성별 : 남 > 여

• 증상

ⓐ 영아 휴식하는 경우 : 증상 없음 But, 울기 or 기침할 경우 복압 증가 → 촉진이 쉽다

ⓑ 탈장된 낭이 비어있는 경우 : 증상 없음

ⓒ 서혜관 내 덩어리가 있음 But, 눌러봐도 통증X

• 진단

- 발살바 수기법 Valsalva

ⓐ 새끼손가락을 서혜관 안으로 넣음

ⓑ 복압상승 유도함

ⓒ 내용물이 닿는지 확인함

• 치료 / 간호중재

ⓐ 즉시 선택적 외과적 복구 실시 = 탈장봉합술

Why? 감돈 예방 위해 ※ 감돈이란? 정복될 수 없는 탈장을 의미

ⓑ 탈장 주위 부종 / 염증간호

ⓒ 복압감소 : 발 붙이기 + 머리 낮추기

3) 요충증 Enterobiasis

• 정의 및 특징

- 가장 흔한 장내 기생충 감염 : 선충류 Ex) Enterobius vermicularis

- 전파 : 군중상태에서 발생

- 기후와 관계가 있다

- 알 상태에서 삼켜짐 or 흡인될 경우 : 감염시작

• 증상

ⓐ 항문 주위 심한 소양증

ⓑ 장기화되는 경우 : 주의력결핍, 불안

ⓒ 여아의 경우 : 질염, 요도염 발생 가능성

• 진단

- 테이프 테스트 Tape test

: 테이프로 아동의 항문점막을 여러번 떼었다 붙였다 반복하며 충란 채취

간호중재

ⓐ 약 1회로 치료됨 But, 재감염 방지 위해 2주 후 재복용 실시

ⓑ 청결유지

▷ 기저귀 : 오염 즉시 갈아주기

▷ 의류 and 침대보 : 뜨거운 물로 세탁

▷ 손톱 짧게 자르기 / 자주 손씻기 교육

▷ 샤워 > 통목욕 권장

ⓒ 가족이 함께 치료한다 Why? 요충증은 군중상태일 경우 전파하기 때문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 세번째 파트 입니다.

위의 셋 질환 중 선천거대결장이 가장 국가고시에 자주 출제가 되었습니다.

히르슈슈프룽 굉장히 이름이 외우기 쉬워서 한 번 보면 까먹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마무리 잘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