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의 비뇨생식기 장애 ★
1)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 특징
-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의 부산물
- 신장에 발생하는 면역복합체 질환이다
- 상기도감염 or 피부감염 1 ~ 3주후 발병함
- 호발연령 : 6 ~ 7세 호발 ※ 학령초기발병
호발성별 : 남아(2배) > 여아
- 예후 : 좋은편 ※ 아동의 경우 95% 이상 완전 회복됨
• 증상
ⓐ 혈뇨 : 탁한 콜라색 Why? 사구체막 파열로 인하여 여과물 안에 적혈구가 통과되기 때문
ⓑ 소변량 감소 Why? 사구체여과율 감소
ⓒ 부종 ※ 특히 안와 주위
얼굴부종 : 아침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남 Why? 나트륨 and 수분 정체로 인하여
ⓓ 고혈압 : 경하다 or 중증도로 상승
ⓔ 그 외 증상 : 식욕부진, 창백, 민감, 무기력, 두통, 복부불편감, 배뇨곤란, 구토, 빈혈
ⓕ 합병증 : 뇌증(가장 흔함), 두통, 시각장애, 수면, 혼수, 어지럼, 구토, 고혈압
• 진단
- 혈뇨 / 단백뇨 / 요비중 증가
• 치료
ⓐ 대증 치료 : 증상완화
ⓑ 약물치료 : 항생제, 혈압하강제, 디지탈리스 투여
If) 발작할 경우 : 항경련제 투여
필요할 경우 : 이뇨제 투여
ⓒ 심한 부종 / 울혈이 있을 경우 : 투석 실시
• 간호중재
ⓐ 수분불균형 감시 : 매일 체중측정, I/O 측정, V/S 측정
ⓑ 영양공급 and 식욕증진 : 적절한 영양공급 실시 Why? 저염식이, 식욕저하 동반할 수 있어서
ⓒ 급성기인 경우 : 침상안정 → 이후 점차적으로 적절한 운동 권장함
ⓓ 체위변경 Why? 부종부위 피부마찰 방지 위하여
ⓔ 소변 감소기 ( 요감소기 ) : 수분/염분 제한
신기능 부전일 경우 : 단백질 섭취 제한
호흡기 감염일 경우 : 접촉피하기 - 회복기 동안 감염예방하기
이뇨제 사용할 경우 : 저나트륨혈증 and 저칼륨혈증 증상 관찰
ⓕ 합병증 관찰
2)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 병태생리
부종기전 ① 사구체단백질 투과성 증가
② 다량의 요단백 상실
③ 저단백혈증
④ 교질삼투압 감소
⑤ 혈관 내 혈액량 감소
⑥ 신장의 혈류감소
⑦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
⑧ 세뇨관의 나트륨 이온 and 수분재흡수 증가
→ 결과 : 부종
• 증상
ⓐ 4대 대표증상 :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 부종
ⓑ 급성 감염 동반할 경우
▷ 전신부종
▷ 폐부종 : 호흡곤란
▷ 장 점막 부종 : 설사유발
▷ 음순 / 음낭 부종 : 부종 있는 음낭에 바인더 적용하기
ⓒ 소변 : 진한색의 거품나는 우윳빛 소변, 혈뇨 → 사구체여과율 감소
ⓓ 손/발톱의 하얗고 평행한 선 발견됨 → 저알부민증
ⓔ 총 혈청단백 and 알부민 감소
ⓕ 혈청 콜레스테롤 증가
ⓖ 그 외 증상 : 예상치 못한 체중증가, 창백, 불안정, 식욕감소
• 간호중재
ⓐ 대증요법 + 안정 + 저염식이
ⓑ 스테로이드 치료
- 부종 감소 But, 체중증가
- 위장출혈 and 궤양 관찰 → 제산제 투여
- 구토할 경우 : 우유 or 음식과 함께 투약
- 프레드니손 Prednisone : 안전함 and 값싼가격 → 가장 우선 선택됨
- 이뇨제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 → 프레드니손 부작용이 나타났을 경우 필요함
-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 환아 : 체중과다 경향이 있기 때문에 체중관리가 필요함
- 스테로이드는 감염에 대한 저항력 떨어뜨림
- 환아는 염증 증상을 은폐할 수 있음
- 쿠싱증후군 : 특징적외모 and 체모변화 초래
- 부종성피부 : 쉽게 손상 → 감염예방 중요 Why? 2차감염 초래함
ⓒ 면역억제제
- 재발 or 반응이 없는 경우
- 부작용 : 백혈구 감소
남아의 경우 → 불임
ⓓ 적절한 체액균형 유지 and 부종사정 → 부종이 심할 경우 : 저염식이
ⓔ 영양식이 제공 : 위장부종 and 전신허약 Why? 식욕부진 있기 때문에
ⓕ 감염예방 : 특히 스테로이드 치료할 경우 주의하자
ⓖ 잦은 체위변경 Why? 피부손상 방지
ⓕ 가족의 정서적지지 and 교육제공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동의 비뇨기관 장애중 종류인 급성사구체신염, 신증후군을 알아보겠습니다.
질병들이 비슷해 보이지만 공통적인 특징보단 특징적인 몇가지를 숙지하시는 것이
공부할 때 시간 분배에 좋고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꿀잠자시길 바랄게요~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아동의 호흡기장애 1 (급성 인두염, 편도선염) (0) | 2022.07.26 |
---|---|
[아동간호학] 아동의 비뇨생식기 장애(요로감염, 폐쇄성요로질환, 급성신부전) (0) | 2022.07.25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선천거대결장=히르슈슈프룽병, 서혜부탈장, 요충증) (0) | 2022.07.22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선천성유문협착증, 장중첩증, 산통) (0) | 2022.07.21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소화기관장애(탈수, 구토, 설사) (0) | 2022.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