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와 관련된 질환
습진성 피부염 Eczematous Dermatitis
①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 정의 : 외부 환경인자 or 화학물질이 피부와 직접 접촉하며 생기는 피부질환
- 유발요인 : 자극성, 알레르기성 → 제 4형 과민반응, 지연성 과민반응
- 증상 : 접촉부위에 국한되어 발생 ex) 홍반, 부종, 수포 → 습진성 병변
- 진단 : 병변관찰, 첩포검사, 사용실험
- 치료 • 확인된 원인물질 재접촉 피함
• 탈감작요법
• 냉습포 적용
• 진정제
• 항히스타민제
②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 증상 : 소양감, 습진성 병변, 피부 태선화, 나이가 들며 자연소실
※ 태선화 : 피부가 비후되는 것
- 치료 • 치료법 X → 증상완화
• 2차 세균감염 예방
• 탈감작요법 : 서늘한 실내온도, 땀/먼지 제거, 의복 느슨하게 착용, 면제품 이용
• 피부긁기 제한 : 손톱깎기, 얼굴에 손을 대지 않도록
• 목욕 : 지나친 목욕 제한, 때 밀지 않도록, 샤워보다는 통목욕 권유, 비누 X
• 스테로이드제 : 가장 효과적인 국소요법 ex) 크림제
• 습포요법 : 급성기 → 삼출성시기 냉습포 적용
가피형성 후 → 습포중지 and 스테로이드 로션/크림 적용 ※ 국소적용
• 예방 : 모유수유, 스트레스 예방, 온도조절(땀흘림 방지)
두드러기 = 담마진 Urticaria
- 원인 : 음식, 약물, 감염, 아스피린, 스트레스, 물리적인자, 알코올
- 증상 : 일시적 → 홍반성 or 흰색 종창을 보이는 혈관반응/팽진
- 치료 • 항히스타민제
• 비만세포 안정제
• 전신적 스테로이드
• 칼라민 로션
• 전분목욕
• 냉습포
세균성 감염증
① 농가진 Impetigo Contagiosa
- 유발요인 : 황색포도상구균 ※ 접촉에 의한 전염력↑
- 증상 : • 화농성병변 → 표피 국한
• 터질 경우 → 황색가피
• 다른곳에 접촉될 경우 → 새로운 발진
- 치료 • 청결한 피부상태 유지
• 항생제 도포 ( 3회/Day ↑)
• 습포후 가피제거
• 2 ~ 3회/Day 부드럽게 씻어주기 → 새로운 가피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
• 전염예방 : 환자와 접촉할 경우 → 꼭 항균성비누 손씻기
환자의 경우 : 개인수건 사용
바이러스 감염증
① 단순포진 Herpes Simplex
- 정의 :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의해 생기는 수포성질환 ※ 대부분 입/성기 주위
- 유발요인 : 대부분 어렸을때 → HSV(Type 1) 일차접촉 → HSV 신경말단에 잠복 → 재발
- 재발 촉진요인 : 발열, 상기도감염, 극도의 피로감, 심리적긴장
- 치료 • 항바이러스제 구강투여 or 연고도포 ex) 아시클로버 Acyclovir
• 자주 손씻기
• 병소 뜯지 않기
• 피로/스트레스 피하기
• 할동성일 경우 → 직접접촉 피하기 ※ 전염력↓
② 대상포진 Herpes Zoster / Shingles
- 원인 : Varicella Zoster Virus
- 특징 • 전염력 → 대상포진 < 수두
• 수두를 앓지 않은 사람 → 대상포진 환자 수포에 노출될 경우 → 수두발병 가능성
※ 수두 : 숙주의 면역형성 X → 숙주의 일차적감염
대상포진 : 숙주의 면역형성 O → 숙주의 면역반응
- 증상 • 발진 : 권태감/열감/소양감/통증 생긴 다음
• 비대칭적 : 말초감각 신경로 따라 발생
→ 편측성으로 발생 Why? 체간중앙을 횡단할 수 없어서
• Vesicle 선형으로 형성 → 신경절을 따라서 형성
• 초기수포 : 혈청 포함하고 있음 But, 이후에는 화농성
→ 터질경우 가피형성
→ 10일 이내 탈락
- 치료 • 대중요법 ex) 진통제, 해열제, 항히스타민제
• 습포 : 3~4회/일 실시 ex) Borrow 용액 이용
• 습포 이후 : 연고도포 ex) Silver Sulfadiazine 연고, 박트로반 연고
• 항바이러스제제 ex) 아시클로버(조비락스) Acyclovir(Zovirax)
• 환자 10% 포진 이후 : 신경통 발병 → 동통치료 ex) 진통제, 경피신경자극
기생충 감염
① 옴
- 유발요인 : 암컷진드기가 각질층 관통해 피부에 알을 낳아 발생함
- 증상 • 물결모양 갈색 실 같은 띠 모양 병변
• 야간 : 심한 소양증
- 치료 • 약물투여 ex) Lindane
• 지속적인 관찰 : 가족끼리 잘 관찰 Why? 장기간접촉으로 전파되서
피부종양 Skin Tumor
① 기저세포암
- 전이율 낮음
- 긁어내기 / 전기소작
② 악성흑색종
- 피부종양 중 가장 악성
- 전이 빠름
- 멜라닌세포에서 발생
- 수술적절제
③ 카포시육종 Kaposi's Sarcoma
- 원인 : Herpes Simplex Type 1 Virus
- 증상 : AIDS 관련형 → 에이즈환자 피부 초발증상 or 질병 경과 도중 피부에 출현
- 치료 • 방사선요법
• 화학요법
• 면역요법
• 외과적절제
④ 피부 비정형 편평상피세포암 Atypical Squamous Cell Carcinoma
- 원인 : 자외선 ( 가장주된 원인 )
화학물질 노출 ex) 비소, 콜타르, 송진
방사선물질
- 정의 : 지속적인 외상/자극으로 인한 만성피부손상
- 호발부위 : 국소적발생 → 귀, 입술, 외부생식기
★ 피부암 예방/관리
ⓐ 햇빛노출 피하기 ( 11am ~ 3pm )
ⓑ 자외선차단제 사용 ※ 피부유형에 맞는 제품
ⓒ 모자, 긴옷, 선글라스 사용 ※ 햇빛이 강한 야외
ⓓ 1달/1번 자가감진 → 암위험부위
ⓔ 피부변화 있을 경우 검진 ex) 색, 모양, 감각, 특징
욕창 Pressure Sore
- 원인 • 직/간접적인 조직허혈 유도
• 피부에 가해지는 기계적 힘 ex) 압박, 마찰, 응전력
• 피부손상
• 영양결핍
- 촉진유발요인 : 습도, 부종, 저알부민혈증, Hb저하, 감각장애
- 치료/간호
ⓐ 균형잡힌 식이 : 단백질추가 → 조직재생에 필요함
ⓑ 복합비타민 : 치유촉진
ⓒ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제거
ⓓ If) 피하층 이상 침범했을 경우 : 괴사조직 우선적으로 제거
ⓔ 욕창예방
• 2시간 간격 체위변경
• 압력을 감소시키는 기구사용 ex) 침대, 의자
• 주기적인 피부손상징후 관찰
• 마사지 X
• 피부가 부드럽고 탄력성 있도록 유지
• 실금조절
• 피부주변이 습하지 않도록 함
• 마찰 / 응전력 ↓
• 활동량↑ : 가능한만큼
• 최적의 영양공급 : 영양사에게 의뢰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호학에서 주로 다룰 수 있는 피부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욕창은 우리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인 만큼 더 심도 있게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국가고시에도 골고루 출제된 적이 있는 질환들이라 참고하도록 하세요!
오늘은 비가 내려 날이 조금 추워졌네요.
감기 안걸리게 따뜻하게 입고 다니시고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혈액계질환 - 백혈구장애 (백혈병, 호중구감소증, 다발성골수증, 림프종, 조혈모세포 이식) (0) | 2022.06.04 |
---|---|
[성인간호학] 혈액계질환 - 적혈구장애 (재생불량성빈혈 , 철결핍성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염산결핍성빈혈, 용혈성빈혈, 지중해성 빈혈, 겸상적혈구성빈혈, 적혈구증가증) (0) | 2022.06.03 |
[성인간호학] 안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물(산동제, 축동제, B-교감신경차단제) (0) | 2021.04.08 |
[성인간호학] 감각계 - 눈과 관련된 질환(망막박리, 결막염, 포도막염, 교감성안염, 일반적간호, 맹인간호) (0) | 2021.04.06 |
[성인간호학] 감각계 - 눈과 관련된 질환(백내장, 녹내장) (0) | 2021.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