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계와 관련된 질환
백혈구 장애
① 백혈병 Leukemia
1)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genous Leukemia = AML
- 호발연령 : 성인에게 흔함
- 특징 : 모든 골수 세포의 장애가 발생
- 증상
• 부적절한 혈구 생성에 의한 증상 : 감염, 출혈경향, 허약, 피로, 뼈 통증
• 적혈구, 혈소판 감소
• 골수검사 : 골수아구의 현저한 증가
- 치료 : 항암화학요법, 수혈, 골수이식
- 간호
• 감염예방 : 절대호중구 ANC 관찰, 격리 + 방문객 제한
• 출혈예방 : 혈소판 PLT 관찰
- 예후
• 치료 안하면 2달 이내 사망함
• 평균 생존기간 : 13개월
2) 만성 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 CML
- 호발연령 : 25 ~ 60세 사이
- 특징 : 성숙 형태의 악성 과립구가 골수, 혈액, 간 등에 과다 축적된 상태
- 증상
• 만성기 : 무증상, 피로, 야간발한
급성기 : 비장비대
• 현저한 백혈구증가증
• 골수검사 : 필라델피아 염색체 발견
- 치료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 간호 : 환자상태와 증상에 따라 간호가 다르다
- 예후
• 급성으로 변할 경우 항암제 반응 안하고 사망함
• 평균생존기간 : 3 ~ 5년
3) 급성 림프성 백혈병 Acute Lymphocytic Leukemia = ALL
- 호발연령 : 어린이가 흔함
- 특징 : 골수 내 미성숙 림프구의 증식과 축적
- 증상
• 골수 림프구 증식
• 흔한 증상 : 간비대, 비장비대, 림프절병증, 뼈 통증
• 중추신경계 + 고환 침범
- 치료 : 항암화학요법
- 간호 : 통증, 감염, 영양
- 예후 : 80 ~ 90% 완전 관해
※ 어린이 완치율 60 ~ 85%
4) 만성 림프성 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 CLL
- 호발연령 : 60 ~ 80세 이상
- 특징 : 비교적 경하다
- 증상
• 증상이 적음
• 적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 림프구 증가증
• 림프절 비대
• 완화와 악화의 교대
- 치료
• 경하면 치료하지 않는다
• 수혈, 방사선, 비장절제술 ...
- 간호 : 통증, 감염, 영양
- 예후 : 생존기간 7 ~ 15년 이상도 가능함
② 호중구감소증 = 무과립구증
- 정의 : 혈액 가운데 호중구 수가 현저히 감소되는 질환
※ 호중구 < 2,000/mm3
중등도위험 : 호중구 < 1,000/mm3
고위험 : 호중구 < 500/mm3
- 증상
• 감염 취약함 + 미열 + 두통
• 권태감
• 작열감, 빈뇨
• 식욕부진
• 구강 및 인후 점막의 궤양
• 질 소양감
• 호흡곤란 + 기침
• 패혈증 - 화농반응은 드물다
- 진단 : 말초혈액 호중구 수 < 2,000/mm3 → 무과립구증 호중구 수 < 500/mm3
- 치료
• 호중구 감소를 초래하는 원인 규명
• 감염인 경우 - 원인균 확인
• 예방 / 치료적 항생제 투여
• 조혈성장인자 투여
• 보호적 격리술
③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 정의 : B림프구의 최종 성숙 단계인 형질세포의 악성 증식 질환
- 증상
• 뼈 통증 Ex) 요통
• 키의 감소 + 체중감소
• 감염에 취약 + 추위에 지나치게 민감
• 신경병증
• 뇌신경이상
• 허약
• 골조직 파괴
→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이후 고칼슘혈증 → 신결석, 신세뇨관 폐쇄
- 진단
• 골수 생검 : 혈장 세포 증식 ( Marrow Plasmocytosis > 10% )
※ 정상 : 5%
• 혈액 검사 : 과립구감소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고칼슘혈증, 고요산혈증
- 간호중재
• 기동 : 골다공증, 신부전 합병증 예방
• 통증조절
• 충분한 수분섭취 : 신기능 장애 예방 - 수분섭취 : 3 ~ 4L/Day
④ 림프종 Lymphoma
1) 호지킨병 Hodgekin's Disease
- 정의 : 림프절에 의한 비정상 거대 다핵세포인 스틴버그-리드세포 Reed-Sternberg 과다증식
- 호발성별 : 남 > 여
- 호발연령 : 20대 초반, 50대 이후 흔하다
- 증상
• B 증상 Ex) 체중감소, 열, 야간발한
• 림프절 서서히 비대 → 림프절이 커져 주위 장기 압박
• 국소성인 경우가 많다
- 치료
• 방사선조사 : 다른 림프절로 많이 전이되면 불가능하다
• 전이가 되었을 경우 : 화학요법, 방사선 조사 병용
2) 비호지킨병 NonHodgekin's Disease
- 정의 : 림프조직의 악성종양 중 하나이다 ※ 스틴버그-리드세포 없음
- 호발성별 : 남 > 여
- 호발연령 : 50 ~ 70세
- 증상
• 무통성 림프절 비대 → 1 ~ 2주 이내 급속히 비대
• 종격동, 복강 내 침범
• 피로, 권태, 체중감소
• 예후가 나쁨 : 분류에 따라 1 ~ 7년 후 사망한다
- 치료
• 방사선조사 : 림프절에 국한된 경우
• 항암화학요법 : 전이된 림프종
• 골수이식
⑤ 조혈모세포 이식
- 필요 진단검사
• HLA-A&B 적합
• 림프구혼합배양 = MLC
: 음성반응 - HLA-D 적합
• ABO 혈액형 적합 - 필수는 아님
- 적응증
• 백혈병
• 재생불량성 빈혈
• 다발성 골수증
• 난소암, 고환암
• 면역결핍 질환
- 조혈모세포 이식
• 골수채취 : 장골능 - 1,000mL 정도 채취함
• 전처치 :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으로 면역 억제
• 생착기 : 12 ~ 28일 소요
※ 생착을 돕기 위해 과립구 군락 자극인자(G-CSF)
과립구-대식세포 군락 자극인자(GM-CSF) 투여 가능함
• 합병증
§ 이식거부 Graft rejection
: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 림프구에 의해 주입한 공여자의 조혈모세포가 파괴되는 경우
§ 급성, 만성 이식편대숙주병 = GVHD
§ 감염 : 초기(생착이전) - 주로 세균감염
후기 -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기회감염
§ 정맥 폐색성 질환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혈구 장애에 의한 질환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역시 간호학 공부는 하면 할수록 어려운 부분이 많은 것 같네요..ㅠㅠ
그래도 하루하루 꾸준히 열심히 조금씩 전진하다 보면 발전이 있지 않을까요?
옛말에 그 어떤 요령도 꾸준함을 이길 수 없다고 하네요
하루하루에 충실해 어제보다 다른 오늘을 만든다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어쨋든 화이팅입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뇌졸중 원인, 증상, 치료, 간호중재 (0) | 2022.06.07 |
---|---|
[성인간호학] 담낭계(담낭염, 담석증, 담낭암, 담관폐색), 췌장계(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췌장암) (0) | 2022.06.05 |
[성인간호학] 혈액계질환 - 적혈구장애 (재생불량성빈혈 , 철결핍성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염산결핍성빈혈, 용혈성빈혈, 지중해성 빈혈, 겸상적혈구성빈혈, 적혈구증가증) (0) | 2022.06.03 |
[성인간호학] 피부와 관련된 질환(습진성 피부염, 담마진, 세균성 감염증, 기생충감염, 피부종양, 욕창) (0) | 2021.04.12 |
[성인간호학] 안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물(산동제, 축동제, B-교감신경차단제) (0) | 2021.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