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
1. 분비호르몬
1) 랑게르한스섬(알파, 베타 세포) → 인슐린(알파), 글루카곤(베타) 분비
- 인슐린 요구량 ↑하는 경우 : 정서적긴장, 급성상기도감염, 과식
-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
• 인슐린 [ 혈당↓]
• 글루카곤 [ 혈당↑ ]
• 카테콜아민 [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혈당↑ ]
• 당질코르티코이드 [ 혈당↑ ]
• ACTH [ 혈당↑, 당질코르티코이드 분비 - 부신피질 자극으로 인해 ]
• 갑상샘호르몬 [ 혈당↑ ]
• 성장호르몬 [ 혈당↑ ]
2. 당뇨병 DM : Diabetes Mellitus
1) 종류
• 인슐린 의존형 당뇨 - Type 1 , 소아형 당뇨
ⓐ 호발연령 : 10세 호발, 20세↓
ⓑ 갑작스런 발병
ⓒ 절대적인 인슐린 결핍
ⓓ 자가면역기전 → 췌장 B-cell 파괴 → 인슐린 분비 불가능 → 매일 인슐린 투여 필요
• 비인슐린 의존형 당뇨 - Type 2 , 성인형 당뇨
ⓐ 호발연령 : 성인기, 비만중년
ⓑ 서서히 발병
ⓒ 인슐린 생산은 한다 But, 불충분 or 저항성이 있을 경우
ⓓ B-cell의 당에 대한 민감도가 소실 or 인슐린 수용장애
2) 증상
공통증상 : 다뇨, 다갈, 다식, 체중감소, 피로감, 감염, 상처치유장애
3) 진단검사
• 공복시 혈당 126mg/dL↑
식후 2시간 혈당 200mg/dL↑
HbA1C 6.5%↑ : 당화혈색소 - 최근 1~3개월 간 평균혈당 , 정상(5.7% 미만)
C-펩티드 :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분비량 반영 , 정상(1.3 ~ 1.5ng/dL)
무작위 혈장 혈당 200mg/dL↑ : 전형적으로 고혈당 증상이 있는 경우라 봄
애매한 경우 : 2번이상 위의 진단 기준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당뇨라고 봄
4) 합병증 - 합병증으로 인한 불구와 사망률↑
• 급성합병증
- 저혈당증 ( 혈당 70mg/dL↓ )
ⓐ 증상 : 창백, 발한, 축축한피부, 전신허약, 떨림, 혼수, 경련
ⓑ If) 저혈당 증세 있는 경우 : 속효형 탄수화물 제공( 의식 O ) Ex) 사탕, 초콜렛
If) 의식이 없는 경우 : 50% 포도당 정맥주입
글루카곤 근육주사
- 당뇨성 케톤산증(DKA)
ⓐ 인슐린이 부족(지방조직, 골격근, 간)하여 나타나는 결과 - 인슐린 민감성조직
ⓑ 증상 : 케톤뇨, 요당↑, 다뇨, 다식, 탈수, 오심, 구토, 식욕부진, 호흡시 아세톤냄새
쿠스마울호흡(깊고 빠른 호흡),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 쇼크, 혼수
ⓒ 치료 : 수분공급, 속효성인슐린(RI) 투여, ECG관찰, 인슐린투여 - 저칼륨혈증 교정
- 고혈당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HHNS)
ⓐ 호발연령 : 대부분 중년
ⓑ 제 2형 당뇨 환자에게 심한 고혈당, 고삼투압, 탈수 시
ⓒ 4대 증상 : 심한 고혈당
다뇨(삼투성이뇨로 극심)
심한 탈수
쿠스마울호흡과 호흡시 아세톤냄새는 없음
ⓓ 치료 : 저장성 or 등장성 생리식염수로 삼투압↓ → 손실된 수분보충하는 것이 우선
→ 전해질 교정, 속효성인슐린 정맥투여
• 만성합병증
- 대혈관병증 → 동맥경화증
죽상경화증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 미세혈관병증
: 모세혈관 굵어져 기저막 손상 → 당뇨성망막증(증식, 비증식성)
백내장
시신경염
당뇨병성 신증(말기 신질환의 주원인)
- 당뇨병성 신경병증 → 말초신경증
다발성신경증
자율신경증
- 당뇨병성 족부병변, 피부병변
5) 치료 및 간호중재
ⓐ 식이 : 가장 우선적인 관리
• 정상체중 유지, 비만 줄이며 규칙적으로 영양 골고루 섭취 → 탄수화물(55~60%)
단백질(20~25%)
지방(15~20%)
• 고섬유질식이 : 인슐린요구량↓
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 약물요법
• 경구혈당강하제
- Diabinase : Sulfonylurea계, 인슐린분비↑
- Metformin : Biguanide계, 간의 포도당 합성↓, 인슐린저항성↓
• 인슐린종류
- 속효형 : Regular Insulin ( RI, Humilin R, Novolin R, ReliOn R ), Semilente
- 중간형 : Neutral Protamine Hagedorn ( NPH, Humulin N, Novolin N, ReliOn N ), Lente
- 지속형 : Glargine ( Lantus ), Detemir ( Levemir )
종류 |
작용시작시간 |
최고작용시간 |
유효작용시간 |
초속효성 |
< 0.25 |
1 ~ 2 |
2 ~ 4 |
속효성 |
0.5 ~ 1.0 |
2 ~ 3 |
4 ~ 6 |
중간형 |
1 ~ 4 |
6 ~ 10 |
12 ~ 18 |
지속형 |
1 ~ 4 |
지속적 |
24 |
• 인슐린 투여방법
- 보관 : 냉장 or 실온 ※ 인간인슐린 : 냉장보관
- 투여시 : 실내온도 → 인슐린이 잘 섞이도록 양 손바닥 사이에서 굴리기
- 인슐린 섞을 경우 중간 or 속효성 인슐린 → 지속형 인슐린 순서
※ 환자 스스로 할 경우 : 맑은것 → 탁한것 순서로 하도록 설명해줌
- 주사부위 : 각각 4주마다 1회 이상 맞지 않도록 주사부위를 회전시켜 투여
※ 같은 부위 계속 주사할 경우 : 피하지방위축, 지방비대 발생
- 부위 간 최소 1인치(2.5cm) 떨어진 자리에 주사
→ 복부, 팔, 허벅지 안쪽에 피하주사
배꼽근처는 주사하지 않음
- 보통 45도, 90도 각도로 주사 ( 장내에서 비활성화 → 구강투여 X )
- 주사후 비비지 않는다 ( 눌러주자 ) → 흡수가 빨라져 저혈당을 유발
• 인슐린 요구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증가(↑) : 외상, 감염, 발열,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
- 감소(↓) : 활발한 운동
• 주의할 증상
- 인슐린 과민성 : 주사부위 가렵고 화끈거림, 경결, 홍반, 알레르기
- 저혈당 / 고혈당
※ 소모기 현상 Somogyi
: 급성 저혈당에 대한 반응 → 반동적 고혈압
증상 : 식은땀, 악몽, 기상시 두통, 식사와 무관한 혈당변화
치료 : 인슐린 용량↓ - 인슐린 투여하면 상태 악화됨
※ 새벽현상 Dawn Phenomenon
: 새벽 3시까지는 혈당이 정상 → 이후부터 증가
밤 동안 지속적인 혈당↑ - 소모기현상 : 저혈당 → 고혈당
치료 : 인슐린 용량↑
ⓒ 운동
• 효과 : 인슐린 신체요구도↓
인슐린저항↓
체중↓
심혈관상태 개선
• 심한 운동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 → 활동량에 따라 음식섭취 조절
• 운동시작하기 1 ~ 3시간 전 식사
• 발에 감각이 없는 환자의 경우 : 수영 / 자전거타기 O
달리기 / 조깅 X
ⓓ 발관리
• 발문제 호발 - Why? 신경, 허혈, 패혈증 ex) 말초신경증, 발궤양
• 약한 비누 and 미온수로 씻고 사이사이 깨끗이 닦아줌
• 부드러운 타월로 두드리듯이 닦고 건조
• 순한로션 바르기 ※ 발가락 사이에는 바르지마!
• 발톱자르기 : 발톱을 부드럽게 함 → 직선으로 다듬자 ( 줄을 이용하여 )
• 잘맞는 신발 신기 : 맨발로 다니지 않도록
• 외부온도에 장기간 노출 X
• 처방없이 항균제 or 티눈제거제 사용 X
• 통증을 느끼지 못할수가 있음 : 자주 관찰 ( 궤양, 욕창, 물집, 발적 )
• 금지 : 꽉끼는 양말착용, 오랫동안 같은자세로 앉기, 다리꼬고 앉기, 무거운이불덮기
안녕하세요! 내분비계 파트중 췌장 부분입니다
췌장에서는 당뇨병에 대해 숙지하는 것이 역시나 가장 중요합니다.
다양한 인슐린의 종류를 잘 숙지하여 때에 맞는 적절한 인슐린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해보세요! ^^..
날씨가 추웠다가 따뜻했다가 오락가락하는데
다들 감기조심하시고 마스크 잘 쓰고 다니세요!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상부기도 질환 - 비염,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염, 후두염, 비출혈, 비중격만곡증 (0) | 2021.03.15 |
---|---|
[성인간호학] 신부전(급성, 만성)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중재 (0) | 2021.03.14 |
[성인간호학] 부갑상샘 호르몬과 기능장애(항진증, 저하증) (0) | 2021.03.10 |
[성인간호학] 갑상샘 기능장애(항진증,저하증) 정의, 증상, 수술전/후 간호, 갑상샘절제술 간호 (0) | 2021.03.07 |
[성인간호학] 뇌하수체(전엽, 후엽) 장애, 뇌하수체 절제술 후 간호 (0) | 2021.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