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상샘 기능장애 ]
1) 갑상샘 기능항진 : 혈중 갑상샘 호르몬 수치가 높아져서 발생
(1) 갑상샘 기능항진증 ( Graves disease, Basedow disease )
ⓐ 병태생리 : 과한 갑상샘 호르몬 대사작용, 교감신경계 활발, 여성에게 호발
ⓑ 증상
• 미만성 갑상성종대
• 장운동증가
• 여성형유방
• 반사항진
• 안구돌출
• 수면장애
• 체중감소
• 식욕증가
ⓒ 진단 : TSH↓ , 혈청유리 T3, T4↑ , 단백결합요오드↑
ⓓ 치료 / 간호중재
• 항갑상샘제 PTU : 많은 용량으로 시작 → 점차 감량 후 정상유지
- 임신후기 : 태반을 통해 영아에게 영향 → 임신초기에만 투약
- 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발열, 관절통, 무과립구증, 간기능장애
- 치료 : Methimazole 우선적으로 사용 ※ 부작용이 있는 경우, 임신 1기, 갑상선 중독발증 제외
• 요오드(Lugel 용액, SSKI) : 일시적인 요법, 갑상샘 호르몬 분비억제
• 방사선 요오드요법
- 부작용 : 갑상샘 기능저하 발생 위험(50%)
- 치료 후 : 2~3일간 격리 → 소변, 타액, 땀, 분변을 통해 배설되므로 주의!
수유 허용되지 않는다
수분섭취 권장
식기, 린넨 등 개인사용
신체접촉, 성교 피하기
6개월 피임
• 외과적 요법 : 갑상샘 절제술
- 완전절제할 경우 : 갑상샘호르몬을 평생 인공으로 보충해야만 함
※ 갑상샘 절제술 환자 간호
• 수술전
- 갑상샘 혈류량 감소, 수술후 갑상샘 위기 예방 → 7 ~ 10일간 Lugol 용액
- 수술 후 머리와 목 움직이는 법, 기침하는 법을 미리 교육 ex) 양 손으로 목 뒤 지지해주기
• 수술후
- 회귀후두신경 손상 : 쉰목소리, 약한 목소리 ex) 환자에게 말을 시켜보고 쉰목소리 나면 의심
- 출혈 or 종창 : 목과 어깨 아래에 손을 넣어 드레싱 아래 부위에서 출혈 확인
목이 조이는 느낌 확인
기침이 어려우며 연하곤란 호소 - 수술부위 : 호흡기와 가깝고 출혈가능성↑
- 저칼슘혈증 : 테타니증상 → 갑상선절제술 시 사고 : 부갑상선 제거, 손상으로 인함
Chovostek's sign : 안면근육 경련
Trousseau's sign : 상완압박 시 팔경련
- 응급간호 제공 : 기관절개관 세트 준비 (후두신경 손상)
If) 강직 시 : 칼슘 IV
- 안위제공 : 봉합선 부위 긴장피하기
필요시 진통제
-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 : 액체 → 부드러운 음식 ( 점진적으로 )
- 움직임 제한 예방 : 봉합선 치유되면 목 ROM 운동 시행 ( 2~4일째 )
ⓔ 간호중재
• 식이 : 고열량 ( 4,000 ~ 5,000Kcal/일 ) , 고당질, 고단백, 고비타민, 무기질, 수분섭취 증가
→ 고섬유식이 : 자제 why? 위장자극해 설사악화
• 조용하고 서늘, 안락한 환경제공
• 활동과 휴식 조절 - 절대안정은 필요 X
• 심박출량 안정된 경우 : 가벼운 산책 권장
If) 빈맥, 부정맥 보이는 경우 : 활동제한
• 눈보호 : 눈이 안감길 때 - 처방에 따라 안연고 / 인공누액 투여, 안대착용
(2) 갑상샘 중독 위기 ( Thyrotoxic Crisis ) : 치명적인 상태 - 대사항진 더욱 ↑
ⓐ 원인 : 갑상샘 기능항진증의 적절하지 않은 치료, 감염, 수술, 급성질환 등으로 인해
→ 혈류내 갑상샘 호르몬 증가
ⓑ 증상
• 고열 ( 40 ~ 41℃ )
• 발한
• 복통
• 설사
• 구토
• 부정맥 동반 빈맥
• 심계항진
ⓒ 간호중재
• 섭취배설량 / 체온 측정
• 체온조절 → 얼음
• 조용하고 시원한 환경 제공
• PTH, PTU
2) 갑상샘 기능저하
(1) 크레틴병 Cretinism
ⓐ 정의 : 선천적으로 갑상샘이 없거나 임신중인 산모의 요오드 섭취 부족으로 인해
→ 신생아에게 유발 : 요오드대사에 결함 발생하여서
ⓑ 치료 : 갑상샘 제제 투여
(2) 점액수종 Myxedema
ⓐ 호발 : 성인, 남>여, 고령
ⓑ 증상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변화
• 혈청 중성지방 + 혈청 콜레스테롤 ↑ ( 심혈관질환 ↑ )
• 대사율↓, 영양요구량↓, 식욕↓, 장연동운동↓
• 체중증가 → 부종 : 비요흔성
• 점액수종성 조직 : 말초기관, 혀, 성대(잠긴 목소리)
• 피부, 손톱이 노란빛
• 심혈관 기능↓, 혈압↑, 흉통(심질환/동맥경화성 질환 위험 높음)
• 무감동, 느리고 뚜렷하지 않은 언변, 기면, 졸림, 혼수, 감각이상, 심부건반사 느림
• 생식기능↓, 성욕↓, 불임증, 월경변화, 무배란, 정액↓, 발기부전
ⓒ 진단 : TSH↑, T3↓, T4, 혈청내 콜레스테롤↑, ECG
ⓓ 간호중재
• 갑상샘 호르몬 대치요법 : Levothyroxine ( Synthyroid )
- 매일 아침 식사 적어도 30분전 공복에 섭취
- 소량으로 시작 → 양을 점차적으로 늘리며 유지
- 효과 : 6주까지 소요
- 부작용 사정 : 불안, 협심증, 심근경색
• 저체온감소 : 실내온도유지, 담요제공 ※ 직접 열을 제공 → 부담이 될 수 있다
• 저나트륨혈증 교정, 지남력관찰, 안전관리(침상난간, 침상등켜기), 변비완화, 감염예방
• 성적 문제 : 함께 의논, 신체상 지지 - 치료후에 회복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주자
• 식이 : 저칼로리, 고단백, 고섬유식이
(3) 점액수종 혼수 :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가장 심각한 형태
ⓐ 증상
• 갑상샘 기능저하 증상
• 호흡부전
• 심한 저체온증
• 혼수상태
• 혀 비대, 수면 무호흡증 : 저산소과탄산증 환기흐름, 호흡근육 쇠약감 → 호흡저하
• 서맥, 1회 박동량↓, 심박출량↓, 울혈성심부전 유발가능
ⓑ 간호
• 기도유지
• 부신피질호르몬 투여권장
• 보온 - 과도보온 : 혈관허탈 유발
• 혈당유지
• Levothyroxine, 포도당, 코르티코스테로이드 IV 투여
• 심장질환 위험 증가 : 식이, 운동, 금연, 체중조절 필수, 흉통시 즉시 알리기
(4) 갑상샘종
ⓐ 원인 : 갑상선기능항진
정상(요오드섭취↓)
저하(TSH분비↑ → 갑상샘과자극)
ⓑ 치료 : 원인에 따라 적용
갑상샘호르몬 치료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성인간호학 갑상샘 기능장애 파트입니다.
물론 내분비계 기능과 호르몬을 정확히 외우는 것이 필수이며
전부 암기하시고 보신다면 세부적으로 나눠 외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점점 따뜻해집니다.
그래도 아직 밤에는 날이 쌀쌀하니 기온에 맞게 옷 챙겨입으세요!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 랑게르한스섬/당뇨병(DM) 종류, 진단검사, 합병증, 치료, 간호중재 (0) | 2021.03.11 |
---|---|
[성인간호학] 부갑상샘 호르몬과 기능장애(항진증, 저하증) (0) | 2021.03.10 |
[성인간호학] 뇌하수체(전엽, 후엽) 장애, 뇌하수체 절제술 후 간호 (0) | 2021.03.05 |
[성인간호학] 투석(혈액투석, 복막투석), 동정맥루 정의, 장/단점, 합병증, 간호 (0) | 2021.02.26 |
[성인간호학] 염증성장질환(크론씨병, 궤양성대장염) 분류, 치료, 간호중재 (0)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