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뇌하수체 전엽 장애
(1) 뇌하수체 기능 항진증 - Hyperpituitarism
- 뇌하수체 선종 : 대부분의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원인이 됨
① 비기능성 뇌하수체선종 : 종양 → 뇌하수체 압박함
② 기능성 뇌하수체선종 : 전엽 호르몬 과잉분비 - 유즙분비↑, 거인증, 말단비대증, 쿠싱병
- 말단비대증 / 거인증 : 성장호르몬 과다
① 거인증 : 어린이 (골단융합 전), 성장호르몬 과다 (과도한 뼈성장)
② 말단비대증 : 성인 (골단융합 후), 길이성장 없이 말단부위 뼈 or 연조직 비후
- 쿠싱병 : ACTH 분비↑(혈중 코티솔 And ACTH 모두 ↑)
- 고프로락틴혈증 : 성선기능저하증, 성기능장애, 성적조숙(어린이)
(2)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Hypopituitarism
- 원인
• 선천성
• 압박 : 종양에 의한
• 세포파괴
• 뇌하수체 괴사 : 분만 후
• 뇌수술
• 방사선요법
• 만성염증성질환 (결핵, 매독)
- 증상
• 공통증상 → 전신권태, 피로
• 부족호르몬에 따라 다르게 발생함
• GH : 난쟁이증(왜소증) → 선천적 성장호르몬 결핍 → 발육장애
• ACTH : 근력저하, 혈압저하, 2차성 부신피질부전증, 낮은저항성(감염)
• TSH : 성장장애(소아), 갑상샘 저하증(성인), 추위참기 힘듦, 변비, 피로감
• FSH, LH : 성장애(무월경, 불임증, 성욕감소, 발기부전, 2차성징지연)
• 프로락틴 : 산후여성 - 유방자극 ↓, 유즙생산 ↓
• ADH : 중추성 요붕증, 다뇨
2. 뇌하수체 후엽 장애
(1) 요붕증 - Diabetes Insipidus , DI
- 원인 : ADH 부족 → 신장 수분 재흡수장애
- 증상
• 다뇨 : 저비중, 저삼투성
• 다갈 : 다음
• 혈중 삼투성 ↑
- 치료, 간호중재
• 탈수 징후 조기 발견 → PO or IV 적절한 수분공급 ( D/W, N/S )
• 정확한 I/O, 체중측정, 요비중 측정
• Desmopressin : 중추성 요붕증 효과적임
• 심한 이뇨효과 있는 식품 금기 ex) 커피, 차
• 수면방해 있을 수 있으므로 휴식 취하기 - 야뇨로 인함
(2)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증후군-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 SIADH
- 정의 : 항이뇨호르몬 과다분비 → 수분정체 → 수분중독증(수분전해질 불균형)
- 증상
• 저나트륨혈증 : 두통, 식욕부진, 오심, 구토(GI 증상), 혼수, 불안감, 뇌부종(심한 경우)
• 체중증가 : GFR↑, 나트륨재흡수↓ → 부종, 세포외액↑, 고혈압은 X
- 간호중재
• 수분섭취 - 1일 500~600mL 제한, 물보단 얼음 권장
• 고장성식염수(3% N/S, 나트륨대체) IV / 만약 구강섭취가 가능하다면 식염섭취 증가
• 약물
- 이뇨제 ex) Lasix
- Demeclocycline ( ADH작용 차단, 요삼투압 감소 )
(3) 뇌하수체 절제술 후 간호 TSA
• 신경학적 상태변화 확인
• 부신피질 부전, 갑상샘 기능저하 징후관찰 ex) 체액부족
• 만약 콧물 흐른다 → CSF와 구분 ( 만약 당이 검출된다 → CSF )
• 비심지 : 2 ~ 3일 후 제거 - 입으로 호흡하도록 교육, 구강간호 실시
• 10일간 칫솔질 금지 : 봉합선보호, 불편감완화
• 통증완화 : 진통제 투여
• 체위 : 머리 30도 상승 체위
• 평생 호르몬 대치요법 필요 ex) ADH, Cortisol, 갑상샘 호르몬
안녕하세요
내분비계 호르몬 분비과잉, 과소 중 뇌하수체 전엽, 후엽 파트입니다.
암기가 필수인 부분이므로 먼저 내분비계 호르몬 종류를 정확히 암기하시고
세부적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부갑상샘 호르몬과 기능장애(항진증, 저하증) (0) | 2021.03.10 |
---|---|
[성인간호학] 갑상샘 기능장애(항진증,저하증) 정의, 증상, 수술전/후 간호, 갑상샘절제술 간호 (0) | 2021.03.07 |
[성인간호학] 투석(혈액투석, 복막투석), 동정맥루 정의, 장/단점, 합병증, 간호 (0) | 2021.02.26 |
[성인간호학] 염증성장질환(크론씨병, 궤양성대장염) 분류, 치료, 간호중재 (0) | 2021.02.22 |
[성인간호학] 알레르기(과민)반응 종류, 검사, 치료, 간호중재 + 아나필락틱쇼크 (0) | 2021.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