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신부전(급성, 만성)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중재

by 널스용 2021. 3. 14.
728x90
반응형

전해질

변화

병태생리

치료

포타슘

Potassium

3.5~5.0mEq/L

• 신장 - 포타슘 배설 능력↓

• 조직신장이 있을 경우

: 조직내 포타슘이 혈중으로 유리

• 산증의 경우

: H+ 세포내로 들어가고

K+ 세포외로 나옴

• Kayexalate

: 경구, 직장 투여

• RI

: 5~50% D/W에 섞어 IV

• Calcium Gluconate IV

• 투석

소듐

Sodium

135~145mEq/L

• 신세뇨관 손상

: Na+ 보존하지 못함

• 체액과다할 경우

: 희석성 저나트륨혈증

고혈압, 울혈성심부전, 폐수종

• 이뇨제 투여

• 수분과 나트륨 제한

• 투석

칼슘

Calcium

9.0~11.5mEq/L

• 위장관에서 칼슘을 흡수

: 필요한 Vit D가 신장에서

활성화되지 못함

• 저칼슘혈증

: 부갑상샘호르몬(PTH) 분비자극

• PTH

: 뼈에서 칼슘 유리

→ 뼈가 약해짐, 골절

• Vit D 투여

• 칼슘보충제 투여

phosphate

3.0~4.5mEq/L

• 칼슘이 유리될 경우

: 인(P)도 함께 유리

→ 혈중 농도↑

• 신장에서 인 배설 저하

• 인산염 결합제제 투여

• 인 섭취제한

• Vit D 유도체 투여

중탄산염

Bicarbonate

23~29mEq/L

(정맥)

• 대사성산증

: H+ 완충제로 사용

• 신세뇨관 기능저하

: 중탄산 재흡수 기능장애

• 투석(H+ 배출)

• 중탄산 보충제

마그네슘

Magnesium

1.2~2.0mEq/L

• 고마그네슘혈증 가능성

• 마그네슘이 함유된

제산제와 하제를 피함

1. 급성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ARF

ⓐ 원인

- 신전성 Prerenal : 심박출량↓

혈액량↓

신혈류↓

전신성 혈관확장

- 신장성 Renal : 신장질환

신독성 약물에 의해 신장 실질조직 손상 → 신부전 초래

- 신후성 Postrenal : 요로폐쇄

소변역류

ⓑ 증상

소변생성 변화 : 핍뇨, 무뇨기에 소변량 400mL/Day↓ 감소

수분전해질불균형 : 고칼륨혈증(신장의 칼륨배출 부전)

심전도변화

수분과잉

저나트륨혈증

산-염기 장애 : 대사성산독증 → 폐 보상기전(쿠스마울호흡)

• 대사성 노폐물 축적 : 요독증

ⓒ 진단

: 소변검사, 혈중 크레아티닌, BUN 상승, 신장초음파, CT, MRI, 신생검

ⓓ 치료 및 간호중재

• 원인요인 치료

• 수분과 전해질 균형

- 수액섭취제한/조절 = 일일소변량 + 500mL (불감성 수분소실량)

- 이뇨제사용 : 소변량 회복안될 경우 → 이뇨제 함께 투여

※ 부작용 관찰 : 수분,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배설↑, 혈압↓

- 고칼륨혈증 : 급성심정지 위험, 심전도 점검

식사 통한 칼륨섭취 제한

Kayexalate (이온 교환수지) or Sorbitol 구강/직장으로 투여

속효성 인슐린 = 세포안으로 칼륨 이동 → 혈중칼륨↓ → 심정지예방

- 고인산혈증 : 인 섭취제한 (800mg/일 이하)

인결합제제 (Calcium carbonate, Sevelamer) PO :인과결합 → 대변으로 배설

- 저칼슘혈증 : 혈중 인산농도↑ + Vit D 활성화↓

Calcium Gluconate, Calcium Carbonate 정맥투여

- 저나트륨혈증 : 체액희석으로 인한 것 → 수분제한

• 영양 : 고열량식이, 고탄수화물식이, 수분제한, 질소노폐물 배설, 저염, 저칼륨식이

단백질섭취제한(0.6/kg/일 이하)

• 전해질, 산염기 불균형 교정 : 대사성산독증 예방 - 신부전 → 중탄산염 생성 저하되어 위험

Sodium Bicarbonate 투여 ( PH 7.2 이하일때 )

• 위 모든 치료로 교정 실패할 경우 → 투석실시

2.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CRF

ⓐ 특징

신장의 손상이 비가역적으로 진행된 상태

• 투석, 신장 이식하지 않는 한 사망

ⓑ 원인

• 고혈압성, 당뇨성 신장경화증

• 신장병변 (만성사구체신염, 만성신우신염)

ⓒ 증상

• 전해질불균형

- 나트륨 : 초기 수분정체로 인한 저나트륨혈증

말기 고나트륨혈증 → 고혈압, 울혈성심부전 동반

- 고칼륨혈증 : 보통 식사로 쉽게 고칼륨혈증 초래

- 고인산혈증 : 배설이 잘 안되어 초래

- 칼슘대사 이상 : 저칼슘혈증과 고인산혈증에 의해 2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

신기능저하 → 혈청 Vit D 부족 → 골연화증

• 요독증 증후군 : 빈혈, 고혈압, 빈호흡, 요독성 구내악취, 식욕부진

ⓓ 치료 및 간호중재

• 식이

- 단백질제한 : 노폐물 배설저하 → BUN 축적 방지 위함

투석할 경우 → 개별상태에 따라 조절

양질의 단백질 섭취 ex) 우유, 육류, 계란

- 저염식이 (Na+제한) : 염분 섭취할 경우 → 체내 수분 재흡수 → 부종 심해짐

※ 저염식이 중 저나트륨혈증, 탈수, 세포외액량 저하 주의

식욕증진 : 나트륨 대신 향신료 첨가 (저염식이 힘들어하는 환자)

L-글루탄산암모늄으로 만든 소금대체품

- 고칼로리 식이 (1,800~2,000Kcal/day) : 단백이화작용에 의한 BUN 상승방지

위장관 증상 → 싱겁고 소화되기 쉬운 음식제공

충분한 탄수화물로 에너지 섭취

- 고칼륨식이 제한 : 고인산식이 제한

- 기타전해질 및 비타민보충 : 철분, 칼슘, Vit D 보충

• 고칼륨혈증 치료 : 저칼륨식이, 인슐린, Bicarbonate, Calcium Gluconate 정맥투여

• 수분섭취량 조절 : 1 ~ 2L/일 미만으로 제한 ( 말기신부전 환자 )

• 고혈압관리 : 혈압상승 억제제 ( ACE Inhibitor, 칼슘길항제 ) 투여

• 감염과 상처예방 : 조직손상 → 감염 발생 → 혈청칼륨 증가시키므로 피할 것

• 안위증진

- 소양증간호 : 혈청 인 수준 감소 → 소양증 완화

비누사용 줄이고 로션 등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

과도한 열방지, 덥지 않은 환경 유지

손톱 짧게 유지하고 긁지 않도록 함

면 의복 착용, 항히스타민제

- 근육경련, 나트륨 결핍 : 열요법, 마사지, 경련예방

- 두통 : 아스피린 피할 것 → 신장에서 배설, 빠르게 독성수준에 이름

- 눈자극 : 인공누액 사용으로 자극 감소

- 불면증과 피로 : 미온수 목욕, 적당한 운동

안녕하세요!

성인간호학 신부전 파트 중 급성, 만성 입니다.

국가고시에도 자주 나오기 때문에

각각의 원인, 증상, 간호중재를 정확하게 숙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들 마스크 잘 쓰시고 계시죠?

감기조심하시고 코로나도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