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상부기도 질환 - 비염,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염, 후두염, 비출혈, 비중격만곡증

by 널스용 2021. 3. 15.
728x90
반응형

1. 비염 Rhinitis

알레르기성 비염

Allergic Rhinitis

비알레르기성 비염

Nonallergic Rhinitis

정의

• 외부항원에 대한 비강점막의 반응

→ 염증

• 공기 온도, 냄새, 습도 같은 요소

→ 비강반응

원인

• 알레르기원

: 꽃가루, 계절성, 곰팡이, 먼지, 동물

• 온도변화

습도

냄새

스트레스

긴장

증상

• 알레르기원

: Ig E와 반응 → 매개체 방출

• 부종, 염증, 점액분비↑, 비혈관확장

• 두통, 눈물나고 가려움증

• 약물성 비염

→ 국소 교감신경 자극제 과다복용

• 직접 접촉 → 국소적 증상

• 비점막 부종, 맑은 분비물,

결막충혈, 부종

치료

• 알레르기원 없는 환경

• 약물

: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자극제 → 평활근확장

• 면역요법 : 탈감작요법

• 약물

: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자극제

• 부신피질호르몬 비강내 투여

간호중재

• 예방 : 알레르기원과 분리

먼지생산물질 제거

• 부교감자극상황 피함

: 알코올, 흡연, 기온과 습도변화

• 휴식, 가습, 수분섭취↑, 손씻기, 감염주의, 코풀때 양쪽 비공 열린 상태로 품

2. 부비동염 Sinusitis

1) 외과적 절개 수술 후 간호 → Why? 배농

ⓐ 전신마취 후 측위로 눕힘 → 반좌위 ( If. 의식이 돌아오면 ) → 배액촉진, 부종감소

ⓑ 24 ~ 48시간 비강 거즈로 막음→ 반상출혈부위, 코위 얼음찜질 적용→ 통증완화,혈관수축

ⓒ 증상관찰 : 출혈, 복시, 발열

ⓓ 분비물 삼키지 말고 뱉어내게 함 + 코를 풀지 않도록 하고 가볍게 닦아주도록 함

ⓔ 수분섭취 격려 → 차가운 습기 제공

ⓕ 발살바 수기 피하도록 교육

3. 인두염 Pharyngitis, 편도염 Tonsillitis, 후두염 Laryngitis

1) 간호중재

ⓐ 휴식 : 체온 - 38℃↑이상인 경우

ⓑ 식이 : 고단백, 고칼로리

ⓒ 충분한 수분섭취 : 2 ~ 3L/Day

ⓓ 증상 호전되어도 처방된 항생제 모두 복용

ⓔ 진통제 투여 : 인후통, 발열완화 ex) Acetaminophen, Aspirin

ⓕ 따뜻한 식염수로 구강함수 - 생리식염수 농도 : 물 500mL + 소금 1Tsp

ⓖ 인후세척

ⓗ 얼음칼라 적용 : 목

ⓘ 후두염 : 성대휴식, 지속적인 쉰 목소리가 나올 경우 - 후두경 검사

2) 편도선 절제술 후 간호중재

ⓐ 출혈모니터 : 자주 삼키는 행동, 빈맥, 불안

ⓑ 안위도모 : 가습기 적용, 목에 얼음칼라 적용

ⓒ 수술 초기 : 차가운 물 + 부드러운 음식제공 ex) 얼음조각, 프루트젤리

※ 빨대사용 금기

수술 후 즉시 : 기침으로 객담 배출하지 않도록 함

수술 후 : 1 ~ 2주 동안 기침, 코세게풀기, 격렬한 운동, 무거운 짐 드는 것 금기

4. 비출혈 Epistaxis

1) 간호중재

ⓐ 후비공 심지

• 응급상태로 지혈하기 위해 사용

• 출혈부위 확인 X → 비출혈이 멈추지 않을때 사용

• 구강 호흡법 교육

• 구강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구강간호 제공

• 적절한 수화유지

ⓑ 체위 유지 : 좌위 + 몸을 숙임

ⓒ 혈액 뱉어내도록 격려 : 몸안 축적된 혈액 - 흡인, 오심, 구토 위험

ⓓ 코의 비중격을 최소 5분간 손으로 압박

ⓔ 얼음찜질 적용 : 코 → 혈관수축

ⓕ 비출혈 후 몇 시간 동안 코를 풀지 않도록 교육

5. 비중격 만곡증 Nasal Septal Deviation

1) 치료 및 수술후 간호 : 폐색이 있을 경우 - 비중격 성형술 실시

ⓐ 출혈사정 : 반복적으로 삼키는 행동관찰, 드레싱 부위 과다한 혈액 관찰

ⓑ 체위 : 반좌위 → 국소부종 감소

ⓒ 찬습기 적용, 코부위 얼음찜질 적용

ⓓ 코를 풀지 않도록 함

ⓔ 충분한 영양섭취

ⓕ 충분한 수분섭취량

안녕하세요!

상부기도 질환인 비염,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염, 후두염, 비출혈, 비중격만곡증에 관한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중재, 수술후 간호입니다.

상부기도 질환의 경우에는 하부기도에 비해 중증도가 그리 높지 않아

위험한 질환은 없으나 우리가 숨을 쉬는데 필요한 코와 관련되었기 때문에

주변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질환들이 많을 겁니다.

열심히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무리하게 공부해서

비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