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파성질환 STDs =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 원인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
- 전파경로 • 성접촉(콘돔사용)
• 혈액제제
• 모체로부터 전파 ※ 태반, 모유 → 모유수유 금기
- 약물요법 • 항바이러스치료
• 칵테일 약물요법 → 바이러스 증식억제 목적
- 감염예방 • 감염 X : 악수, 포옹, 같은 장소 사용하는 것으로 감염되지 않음
감염자를 지나치게 경계하는 것은 금물
• 성관계 : 콘돔사용
• HIV 감염 산모의 경우 : 모유수유 금지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 음부포진
- 원인 • 단순포진 바이러스 II형
→ 후근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재발
※ 재발요인 : 외상, 피로, 월경, 발열, 스트레스
• 산도 통과시 질병에 이환될 가능성 多
• 드물게 태반을 통해 감염가능 : 유산, 사산, 조산, 기형
※ 신생아 감염시 : 눈/신경계 손상↑
• 바이러스 검출될 경우 : 제왕절개 분만이 요구된다
- 치료 • 항바이러스제제 Acyclovir, Zovirax
• 수포를 터뜨리지 않고 건조하게 유지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Human Papiloma Virus = HPV)
• 고위험 HPV 16, 18형 : 자궁경부형성이상 / 암 발생과 관련
• 저위험 HPV 6, 11형 : 첨형콘딜로마의 원인 - 피부점막에 발생하는 사마귀
매독 Syphilis
- 원인 : 감염 - 스피로헤타균 Sprirochaetales
- 트레포네마 팔리듐 Treponema Pallidum
- 전파경로 • 개방성상처
• 감염된 혈액에 의해 전파
• 태반을 통한 선천성매독
- 증상 • 1기 매독 : 경성하감 Chancre → 단단하고 통증X 결절로 턱/외음/항문에 나타난다
• 2기 매독 : 편평콘딜로마 Condyloma Latum
→ 특징 : 외음부 - 회색의 괴사성 삼출액으로 덮여있는 둥근병소
전염성 강한 시기
혈액 내 침투하여 전신감염
• 3기 매독 : 고무종 Gumma = 매독성 궤양
→ 크고 완만한 괴사성 궤양
주위에 경변과 부종을 일으키고 질과 직장 사이 누공을 발생시킴
신경매독으로 중추신경 퇴화 ▷ 이후 심한 합병증
- 치료 • 페니실린 투여
• 임신기에 대체약물이 없음 - 태반통과 가능하기 전
5개월 이전 치료해야 함
임질 Gonorrhea
- 원인 : 임균 감염 Neisseria Gonorrhea
- 증상 • 다량의 황색/황록색 화농성 질분비물
• 초기 : 무증상 - 男 10% 女 80%
상행감염으로 난관 좁아져 불임을 초래함
- 치료 • 약물 : Ceftriaxone, Erythromycin 투여 ( 균 배양검사 음성이 나올때까지 복용 )
• 배우자와 함께 치료
• 태반을 통과하지 않아 임신유지 가능
• 신생아 안염예방 조치 필요함
• 클라미디아 동반 감염 확인 필요함
클라미디아 Chlamydia
- 원인 :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감염 Chlamydia Trachomatis
- 증상 • 女 70 ~ 80% 증상이 없음 But, 이후에 경부염/요도염/난관염 발전할 수 있다
질분만시 클라미디아결막염/신생아안염 발생
- 치료 • 광범위 항생제 : Doxycycline, Erythromycin → 7일간 외음부에 도포함
• 배우자와 함께 치료
안녕하세요
여성의 생식기감염에 이은 성전파성질환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성전파성질환의 큰 원인에는 출산시 산도를 지나가며 생기는 감염, 성관계시 전파되는
질환들이 대부분이라 그 점 알고 공부 시작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공부도 좋지만 건강관리 꾸준히 잘하시면서 롱런하시길 바랍니다
날씨도 슬슬 따뜻해지니깐 바람도 쐬고 햇빛도 받으시구요...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여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 생식기 구조이상 간호(자궁탈수, 자궁전방/후방전위, 생식기누공, 복압성요실금) (0) | 2021.05.11 |
---|---|
[여성간호학] 자궁내막질환 간호(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폴립) (0) | 2021.05.09 |
[여성간호학] 여성의 생식기감염(세균성질염, 트리코모나스질염, 칸디다성질염, 노인성질염, 자궁경부염, 자궁내막염, 난관염, 골반감염 (0) | 2021.04.27 |
[여성간호학] 생식기종양치료(절제술, 수술후간호, 항암요법) (1) | 2021.04.26 |
[여성간호학] 생식기종양(외음양성종양, 외음암, CIN, 자궁경부암, 자궁근종, 자궁내막암, 융모상피암, 난소낭종, 난소양성종양, 난소암) (0) | 2021.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