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항목
실기항목 |
유치도뇨 Indwelling catheterization |
|
난이도 |
상 |
|
성취목표 |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 물품준비, 정확한 수행, 기록할 수 있다 |
|
선행지식 |
무균술, 요도와 방광의 해부생리와 기능, 유치도뇨 목적/적응증 |
|
준비물 |
• 유치도뇨세트( 종지 3개, 포셉, 겸자 ) , 유치도뇨관( 14~18Fr ) • 쟁반, 곡반, 공포 • 10mL 멸균주사기, 멸균장갑, 멸균증류수 • 윤활제(멸균), 반창고 • 소독솜, 손소독제 • 홑이불(필요시), 방수포 or 고무포, 반홑이불 • 소변수집주머니, 도뇨모형 • 간호기록지, 스크린 or 커튼 |
|
수행시간 |
15분 |
수행순서
1 |
손위생 ( 물과 비누 ) |
|
2 |
필요한 물품준비 |
|
3 |
유치도뇨세트를 쟁반(Tray) 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펼침 ※ 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간호사 몸에서 먼쪽 방향부터 펼쳐주자 |
|
4 |
1. 도뇨세트 종지에 소독솜을 넣음 2. 멸균윤활제를 세트 내에 짜넣음 ※ 절차는 무균적으로 시행하며 윤활제는 세트에 짜넣기 전 소량 버린 후 넣는다 |
|
5 |
나머지 종지 속에 멸균증류수, 멸균주사기를 무균적으로 넣음 |
|
6 |
1.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에 넣음 ※ 남자 : 16~18 Fr , 여자 : 14~16 Fr 2. 세트를 무균적으로 감싸줌 |
|
7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 ex) 안녕하세요. 담당간호사 김간호 입니다. |
|
8 |
손위생 ( 손소독제 ) |
|
9 |
대상자에게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확인 후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 대조, 확인하여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함 ex)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
|
10 |
유치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 설명 ex) 환자분께서 자연배뇨가 불가능하시기 때문에 유치도뇨관을 통해 배뇨를 도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11 |
1.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 2. 똑바로 눕도록 함 3. 침구(이불 or 홑이불)를 덮어줌 ex) 긴장하지 마시고 편안하게 계세요. |
|
12 |
방수포( or 고무포, 반홑이불 )를 대상자 둔부 밑에 깔아줌 ex) 소변이 흘러내릴 수가 있어서 방수포를 깔아드리겠습니다. 방수포를 깔기 위해 엉덩이를 들어주시겠습니까? 감사합니다. |
|
13 |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배횡와위(60cm 다리를 벌림) 취해줌 ex) 환자분 바지를 벗어주세요. 만약 바지 벗는 것이 불편하시다면 말씀해주세요 ※ 남자의 경우 : 똑바로 눕게 하고 회음부만 노출 |
|
14 |
1. 복부 위로 침구( or 홑이불) 끝을 접어올려서 회음부를 노출시킴 2.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 ex) 환자분 도뇨관을 삽입하는 과정동안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세요. |
|
15 |
세트가 있는 쟁반, 곡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열어줌 ※ 3번 절차와 동일하게 세트를 무균적으로 간호사 몸에서 먼쪽부터 열어준다 |
|
16 |
손위생 ( 손소독제 ) |
|
17 |
멸균장갑 착용 - 멸균유지 |
|
18 |
멸균장갑의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외음부 노출부위를 공포로 덮어줌 |
|
19 |
주사기에 도뇨관에 표시된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준비 |
|
20 |
1. 도뇨관 풍선주입구에 있는 주사기에 있는 증류수를 주입 2. 도뇨관 풍선의 팽창여부를 확인 후 다시 주사기 속으로 빼냄 ※ 증류수를 주입할 때 너무 빠른 속도로 주입되지 않도록 하자 |
|
21 |
도뇨관 끝(5cm)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소독시 차가울 수 있음을 설명 ex) 환자분 이제 소독을 실시할텐데 외음부 소독시 차가운 느낌이 드실 수가 있습니다. |
|
22 |
도뇨관의 소변이 흘러나오는 출구를 겸자로 잠금 |
|
23 |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 닦음 ※ 한 번 닦을때마다 새로운 솜을 사용하고, 사용한 솜은 세트 바깥에 놓음 - 남자의 경우 1.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당김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림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림 |
|
24 |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 요도를 노출 ※ 유치도뇨관 삽입할 때까지 손을 떼지 않도록 하자 ! |
|
25 |
다른 손으로 [양편 대음순] 위 → 아래 방향으로 닦음 |
|
26 |
[양편 소음순] 위 → 아래 방향으로 닦음 |
|
27 |
[요도] 위 → 아래 방향으로 닦음 |
|
28 |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한 손으로 벌리고 있어줌 ※ 24번 ~ 32번 절차까지 손을 떼지 않도록 하자 |
|
29 |
도뇨관을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설명 후 긴장을 풀도록 유도 ex) 도뇨관을 삽입하겠습니다. 삽입 시에 긴장을 풀기 위해 아~ 소리 내주세요. ※ 아~ 소리를 내는 이유 ? 복부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해 |
|
30 |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겸자와 함께 삽입부위로부터 8cm 되는 곳을 잘 감싸쥐고 요도 후상방으로 삽입 ※ 삽입깊이 - 남자: 12~18cm , 여자: 5~8cm |
|
31 |
카데터 끝을 곡반에 대고 잠궈둔 겸자를 풀어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 |
|
32 |
1. 소변이 흘러나오면 다시 겸자를 잠금 2. 도뇨관을 2~4cm 더 삽입 3. 음순을 벌리고 있던 손을 뗌 |
|
33 |
도뇨관 풍선주입구에 연결된 주사기에 들어 있는 증류수 주입 후 주사기 제거 |
|
34 |
도뇨관을 부드럽게 잡아당겨 카데터가 안전하게 방광 안에 있는지 확인 |
|
35 |
1. 공포를 치워줌 2. 장갑 벗음 ex) 도뇨관 삽입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
36 |
손위생 ( 손소독제 ) |
|
37 |
1. 소변주머니 하단의 조절기가 잠겨있는지 확인 2. 소변수집주머니를 도뇨관과 연결 ※ 소변주머니 조절기가 잠겨있지 않다면 소변이 샐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하자 |
|
38 |
1. 도뇨관의 소변나오는 출구를 잠궈두었던 겸자를 제거함 2. 도뇨관을 반창고로 고정시킴 ※ 고정시키는 위치 - 남성 : 하복부 , 여성 : 대퇴 |
|
39 |
1. 소변수집주머니 상단의 조절기가 열려있어 소변이 잘 나오는지 확인 2. 소변수집주머니를 침상아래에 고정하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 |
|
40 |
대상자에게 현재 체위와 삽입한 도뇨관이 편안한지 질문한 후 소변수집주머니의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함 ex) 환자분 도뇨에 대해 불편하신 점 있으실까요? 소변주머니는 항상 방광 위치보다 아래에 두도록 유지해주시고 걸어다니실 때 가지고 다니셔야 합니다. 만약 소변이 새거나 도뇨관 삽입부위에 불편감이 느껴지신다면 말씀해주세요. |
|
41 |
사용한 물품정리 ※ 이때 스크린(or 커튼)을 치워주자 |
|
42 |
손위생 ( 물과 비누 ) |
|
43 |
간호기록지에 결과기록 - 시간/날짜, 유치도뇨 실시한 이유, 사용한 도뇨관 크기/종류, 소변배출여부/양/색 |
핵심술기 단순도뇨에 이어 유치도뇨 입니다.
절차는 단순도뇨와 비슷하지만 유치도뇨에 조금의 절차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유치도뇨는 소변정체 시, 수술, 방광팽만, 소변량 측정 등에 이용됩니다.
병원에 입원해있는 고령의 환자분들의 경우 유치도뇨관을 이용하는 모습이 흔하게 볼 수 있어
임상생활을 할때 자주 쓰일 수 있어 정확한 순서와 방법을 암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전 간호 (0) | 2021.02.23 |
---|---|
[핵심기본간호술] 배출관장 (0) | 2021.02.23 |
[핵심기본간호술] 단순도뇨 (0) | 2021.02.21 |
[핵심기본간호술] 간헐적 위관영양 (0) | 2021.02.21 |
[핵심기본간호술] 수혈요법 (0) | 2021.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