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산부의 고혈압성 건강문제
1) 임신성 고혈압 Pregnancy Induced Hypertention = PIH • 정의 : 임신 20주 이후의 고혈압(140/90mmHg↑) 진단된 경우 • 병태생리 - 혈관경련 수축과 관류의 저하 ⓐ 혈압↑, 뇌 / 간 / 신장 / 태아 / 폐의 허혈 → 장기의 손상 ⓑ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이 일어날 경우 → 혈관내 혈소판 and 섬유소 농축 → 단백질투과력↑, 혈관외 수분이동 ※ 결과로 부종, 단백뇨를 유발할 수 있다. ⓒ 태아 : 자궁내 성장지연, 태반조기박리, 지속적 태아 저산소증, 산혈증 유발할 수 있다. • 증상 - 3대 증상 : 고혈압, 단백질, 부종 - 자간전증 → 자간증 이행 증상임 : 두통(심하고 지속적), 희미한 시야, 핍뇨/단백뇨↑(24hr 소변: 300mg↑), 상복부..
2022. 6. 8.